- 영문명
- Development of Diagnostic Items and Exploration of Adaptive Learning Applications: Focusing on the Concept of Additive Color Mixing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현우(Hyun-woo Kim) 강성주(Seong-Joo Kang)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4호, 279~29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빛의 합성’ 개념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진단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며, 이러한 문항이 적응형 학습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사전 학습 경험이 없는 초등학교 6학년 56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도출된 개념들을 유형화하였다. 이후 진단평가 및 형성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내용 타당도를 CVR 및 CVI 지표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RGB 색광의 합성을 색소 혼합으로 오해하거나, 빛의 세기를 색의 진하기로 인식하는 등 다양한 대안 개념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진단평가 문항 3개, 형성평가 문항 4개를 개발하였으며, 문항의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결론: 개발된 문항은 학생의 다양한 개념 유형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향후 AI 기반의 적응형 학습 시스템에 적용되어 개별화된 맞춤형 피드백과 수업 설계를 지원하는 기초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additive color mixing, develop assessment items to diagnose their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explore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these items in adaptive learning environm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65 sixth-grade students who had no prior learning experience related to the topic. Based on expert review, the alternative concepts were categorized into specific types. Subsequently,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items were developed, and their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using CVR (Content Validity Ratio) and CVI (Content Validity Index) indicators.
Results: Students exhibited various alternative concepts, such as confusing additive RGB light mixing with pigment mixing and interpreting light intensity as color dark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ree diagnostic and four formative assessment items were developed, all of which were validated for content accuracy.
Conclusion: The developed items were designed to precisely diagnose various types of student conceptions and can serve as foundational tools for supporting personalized feedback and instructional design when applied to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41권 제4호 목차
- 체육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그릿에 미치는 영향
- AI 창작 음악교육이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학교 경제·금융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도 교육청 경제·금융교육 지원 조례 분석
-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 생태전환교육 실행연구 - 중학교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수업을 중심으로
- AI 코스웨어 기반 사회정서학습 지원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셰복(D. Shevock)의 생태문해적 음악 교수법 연구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다문화 음악 제재곡 분석 및 메타버스 기반 교수·학습 방안 탐색
- 진로전담교사의 진로상담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대학교원 학습공동체 활동의 특성과 주요 주제 탐색 - 토픽모델링 기반 사례분석
-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변화궤적 유형 및 예측요인
- 중등 초임교사의 적응 재개념화 - 정체성 형성과 맞춤화 전략
- 학생들의 개념 진단 문항 개발과 적응형 학습 적용 가능성 탐색 - 빛의 합성 개념 중심으로
- 스포츠참여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신체적자기개념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단위학교 자율 점검 요소 탐색 연구
참고문헌
- 보도자료
- 새물리
- 교원교육
- 새물리
- 교원교육
- EDULEARN19 Proceedings
- Aalto University
- Synthese
- Routledge
-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 Heart and L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Smart Learning Environments
- Medical perspectives
- Personnel Psychology
- Cultura e Scienza del Colore-Color Culture and Science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tific Research and Education
- McGraw-Hill Education
- SIPOSE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