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ypes of Burnout Trajectories and Their Predictor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동화(Donghwa Kim)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4호, 115~14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변화궤적을 탐색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초등교원종단연구의 1~3차년도에 응답한 초등교사 82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잠재계층성장모형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초등교사의 소진 변화궤적은 세 가지 유형(고수준 - 급격 감소형, 중수준 - U자형, 저수준 - 완만 감소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변화궤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요인은 맞벌이 유무, 자녀 유무, 교사의 결정 권한, 업무 스트레스, 교직 특성에 대한 교직관,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 학교 분위기(교사 협력)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소진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종단적으로 이해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을 유형별로 규명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초등교사의 소진 변화궤적 유형을 체계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유형별 맞춤형 정책 수립과 예방적 개입을 마련하는 데 실증적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latent trajectories of burnou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identify the predictors that influence each trajectory type.
Method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827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to third waves of the Korean Teacher Longitudinal Study: Elementary School Teachers. Latent Class Growth Modeling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data.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ree trajectories of teacher burnout: High-level & rapidly decreasing type, Mid-level & U-shaped type, and Low-level & gradually decreasing type. The main predictors of each type of trajectory were identified as: Dual income, Having Children, Teacher decision-making authority, Job stress, Teacher perceptions of teaching characteristic,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School climate(teacher collaboration).
Conclusion: This study longitudinally examined how burnou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anges over time and identified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each trajectory type. By systematically categorizing the patterns of teacher burnout, the study offers empirical evidence that can inform the development of tailored policy interventions and preventive strategies for each trajectory group.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41권 제4호 목차
- 체육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그릿에 미치는 영향
- AI 창작 음악교육이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학교 경제·금융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도 교육청 경제·금융교육 지원 조례 분석
-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 생태전환교육 실행연구 - 중학교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수업을 중심으로
- AI 코스웨어 기반 사회정서학습 지원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셰복(D. Shevock)의 생태문해적 음악 교수법 연구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다문화 음악 제재곡 분석 및 메타버스 기반 교수·학습 방안 탐색
- 진로전담교사의 진로상담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대학교원 학습공동체 활동의 특성과 주요 주제 탐색 - 토픽모델링 기반 사례분석
-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변화궤적 유형 및 예측요인
- 중등 초임교사의 적응 재개념화 - 정체성 형성과 맞춤화 전략
- 학생들의 개념 진단 문항 개발과 적응형 학습 적용 가능성 탐색 - 빛의 합성 개념 중심으로
- 스포츠참여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신체적자기개념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단위학교 자율 점검 요소 탐색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