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and Key Topics of the Faculty Learning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하늬(Hani Kim) 박영미(Youngmi Park)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4호, 91~11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원 학습공동체의 운영 및 실천 특성과 주요하게 다룬 교육적 주제가 무엇인지 탐색하여 대학교원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9년부터 2024년까지 A대학에서 실시한 교수법 공동연구의 결과보고서 50건을 대상으로 텍스트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Python 3.10 환경에서 KoNLPy(Okt), Gensim 등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자료 전처리 및 토픽모델링의 두 단계로 진행하고, 이 과정을 통해 생성된 문서-단어행렬을 입력값으로 하여 잠재 디리클레 할당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도출된 주요 주제를 바탕으로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A대학에서는 매년 약 8개 팀, 각 팀 당 약 5명이 교수법 공동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주로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음을 파악하였다. 텍스트마이닝 결과 해마다 다양한 키워드가 도출되었고, 키워드에 따른 주요 주제 또한 다양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교원 학습공동체가 시대적 요구와 교육적 변화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원 학습공동체의 교육적 함의를 이해하고, 향후 대학 차원의 지원 전략 및 대학교원 전문성 개발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epen understanding of the Faculty Learning Community by exploring the operational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ain educational topics.
Methods: Tex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on 50 results reports conducted at University A from 2019 to 2024. Using libraries such as KoNLPy(Okt) and Gensim in the Python 3.10 environment, data pre-processing and topic modeling were conducted in two stages.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was applied using the document-word matrix generated through this process as an input value. In addition, cas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main topic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bout eight teams and approximately five people per team participated in the Faculty Learning Community every year at University A, with the research being mainly conducted by applying the research method of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analysis. As a result of text mining, various keywords were derived every year, and the main topics were also diverse.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Faculty Learning Community were derived,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university-level support strategy and graduate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41권 제4호 목차
- 체육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그릿에 미치는 영향
- AI 창작 음악교육이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학교 경제·금융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도 교육청 경제·금융교육 지원 조례 분석
-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 생태전환교육 실행연구 - 중학교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수업을 중심으로
- AI 코스웨어 기반 사회정서학습 지원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셰복(D. Shevock)의 생태문해적 음악 교수법 연구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다문화 음악 제재곡 분석 및 메타버스 기반 교수·학습 방안 탐색
- 진로전담교사의 진로상담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대학교원 학습공동체 활동의 특성과 주요 주제 탐색 - 토픽모델링 기반 사례분석
-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변화궤적 유형 및 예측요인
- 중등 초임교사의 적응 재개념화 - 정체성 형성과 맞춤화 전략
- 학생들의 개념 진단 문항 개발과 적응형 학습 적용 가능성 탐색 - 빛의 합성 개념 중심으로
- 스포츠참여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신체적자기개념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단위학교 자율 점검 요소 탐색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