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중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평가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친구인식의 이중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Influence of Family Health on School Life Evaluation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Dual Mediating Roles of Self-Esteem and Peer Perception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노성향(Sunghyaung Rho)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3호, 155~16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2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탐색하고자,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 친구인식, 학교생활평가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장애인 삶 패널 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156명의 장애 중고등학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SPSS, Mplu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통해 측정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적용하여 주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건강성은 자아존중감, 친구인식 그리고 학교생활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은 친구인식에, 친구인식은 학교생활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학교생활평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친구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친구인식의 단독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친구인식의 이중매개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장애 중고등학생의 학교생활을 위해서 가족-자아-또래 간의 통합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mily functioning, self-esteem, peer perception, and school life evaluation. Method The study utilized the 5th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analyzing data from 15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8.0 and Mplus 8.10.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verif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key variables were examin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and serial mediation effects was test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First, family functioning had a direct effect on self-esteem, peer perception, and school life evaluation. Self-esteem significantly influenced peer perception, while Peer Perception significantly affected school life evaluation. Th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both self-esteem and peer perception independe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chool life evaluation. Furthermore, the serial mediation path through self-esteem and peer perception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integrated interventions targeting family, self, and peer domains to promote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성향(Sunghyaung Rho). (2025).장애중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평가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친구인식의 이중 매개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 (3), 155-168

MLA

노성향(Sunghyaung Rho). "장애중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평가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친구인식의 이중 매개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3(2025): 155-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