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act of Participation in Generative AI Training on Teaching Efficacy in AI Utilization and Support Needs of Pre-Servic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박경옥(Kyoung Ock Park) 한경인(Kyungin Ha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3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2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초등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생성형 AI(인공지능) 활용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이들의 AI 활용 교수효능감 변화와 장애학생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요구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A 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3학년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15주간 생성형 AI 활용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AI 활용 교수효능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프로그램 참여 학생중 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생성형 AI 활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초등특수교사의 AI 활용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예비초등특수교사는 장애학생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교원 양성과정에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현장 실습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생성형AI 활용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초등특수교사의 AI 활용 교수효능감 향상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교원양성기관의 사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예비초등특수교사 양성과정에서 생성형 AI 기술을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generative AI-based educational program on pre-servic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efficacy regarding AI utilization and identify their support needs for strengthening competencies in using generative AI in special education contexts.
Method Twenty-three students majoring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t University A participated in a 15-week generative AI-based educational progra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 and post-program surveys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ix participant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rticipants’ teaching efficacy regarding AI utilization. Participant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within teacher preparation courses and expanded opportunities for field practice to enhance their competencies in utilizing generative AI for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strategies for effectively integrating generative AI technologies into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provide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8권 제3호 목차
- 생성형 AI 활용교육 참여가 예비초등특수교사의 AI 활용 교수효능감 및 지원 요구에 미치는 영향
- 중증 뇌병변장애 대학원생의 주체 형성과 제도적 조건 전환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초등학교에서의 개별화전환계획(ITP)에 대한 인식과 요구
- 친구 가르치기와 문제 만들기 중심의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력, 학습 경험에 미치는 효과
- 예비 특수교사를 위한 마이크로티칭 평가 지원 AI 시스템 개발 탐색 연구
- 영국 특수교육 제도 전환의 역사적 고찰: 장애 범주에서 교육적 요구 중심으로
- 전통적 및 수정된 IPA 비교를 통한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핵심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장애중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평가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친구인식의 이중 매개효과
- 특수교사의 재택 및 시설 순회교육 경험과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장애보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척도 개발과 타당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