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친구 가르치기와 문제 만들기 중심의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력, 학습 경험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Special Education Introduction Class that Applied the Havruta Learning Method Centered on Teaching Friends and Creating Questions on the Self-Efficacy for Group Work,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Exper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장지은(Jee Eun Chang)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3호, 69~8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2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친구 가르치기와 문제 만들기 중심의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이예비유아교사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과 예비유아교사의 학습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S시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과 3학년 36명의 학생에게 친구 가르치기와 문제 만들기 중심의 하브루타 학습법이 적용된 ‘특수교육학개론’ 강의를 실행하였다. 이에 대한 학습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의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력에 대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구체적인 학습 경험 및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자유 서술식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친구 가르치기와 문제 만들기 중심의 하브루타 학습법을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에 적용한 후 예비유아교사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둘째, 친구 가르치기와 문제 만들기 중심의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도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셋째,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해당 과목에 대한 이해 및 관심 증가, 수업 만족도 및 참여도 증가, 의사소통능력 향상, 학습효과 증진, 관계증진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향후 다양한 교과목에 대한 친구 가르치기와 문제 만들기 중심의 하브루타 학습법의 적용가능성과 예비유아교사의 리더쉽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하브루타 학습법의 활용 가치를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troductory special education class that applied the Havruta learning method, which focuses on teaching friends and creating questions on the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Method A course titled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that focuses on teaching friends and creating questions was implemented for 36 third-grad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ity S. To verify the learning effect, a pre- and post-test was conducted on the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to examine the specific learn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ults First, after apply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which focuses on teaching friends and creating questions, to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lass, the self-efficacy for group work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mproved. Second,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improved through the class that applied the Havruta learning method, which focuses on teaching friends and creating question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data, the following themes were derived: increased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subject, increased class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increased learning effectiveness, and improved relationships.
Conclusion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Havruta learning method, which focuses on teaching friends and creating questions, to various subjects in the future and the value of utiliz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as a means of improving the leadership and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8권 제3호 목차
- 생성형 AI 활용교육 참여가 예비초등특수교사의 AI 활용 교수효능감 및 지원 요구에 미치는 영향
- 중증 뇌병변장애 대학원생의 주체 형성과 제도적 조건 전환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영국 특수교육 제도 전환의 역사적 고찰: 장애 범주에서 교육적 요구 중심으로
- 초등학교에서의 개별화전환계획(ITP)에 대한 인식과 요구
- 친구 가르치기와 문제 만들기 중심의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력, 학습 경험에 미치는 효과
- 장애보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척도 개발과 타당화
- 전통적 및 수정된 IPA 비교를 통한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핵심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예비 특수교사를 위한 마이크로티칭 평가 지원 AI 시스템 개발 탐색 연구
- 장애중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평가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친구인식의 이중 매개효과
- 특수교사의 재택 및 시설 순회교육 경험과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친구 가르치기와 문제 만들기 중심의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력, 학습 경험에 미치는 효과
- 장애보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척도 개발과 타당화
- 전통적 및 수정된 IPA 비교를 통한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핵심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