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특수교사를 위한 마이크로티칭 평가 지원 AI 시스템 개발 탐색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an AI System for Supporting Microteaching Assessment i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이가영(Gayoung Lee) 유영진(Youngjin Yoo) 이설희(Seolheel Lee)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3호, 89~10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2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 특수교사 대상의 마이크로티칭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AI 기반 시스템을 설계하고, 해당 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설계·개발 연구 방법론에 따라, 멀티모달 인공지능, 인간-AI 협업, 피드백 리터러시 관련 문헌 고찰을 기반으로 설계 원리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Streamlit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후 특수교육 및 교육공학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닐슨의 사용성 평가 기준에 따라 타당성과사용성을 평가하고 이를 반영하여 최종 AI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설계 원리는 ‘인터페이스 설계, 멀티모달 데이터 분석 및 평가, AI-인간 협업, 피드백, 특수교육 수업요소’의 5개 구성요소, 7개 원칙, 13개 세부지침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은 모의수업 영상 분석, AI와 평가 협업, 맞춤형 피드백 생성의 3단계로 구성되며, 실제 수업 영상의 자동 분석, 챗봇과의 대화 기반 평가 검토, 피드백 자동 생성 기능을 제공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는 평균 4.5점 이상으로, 직관적 인터페이스와평가 신뢰성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예비 특수교사의 수업 역량 평가를 위한 AI 기반 협업 시스템의 설계 및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인간-AI 협력을 통해 평가의 신뢰성과 피드백의 질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특수교육 맥락에 적합한 AI 평가 도구 개발의 실천적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ign an artificial intelligence(AI) system grounded in design principles to support the microteaching evaluation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Methods Using a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approach, design principles were derived from literature on multimodal AI, human-AI collaboration, and feedback literacy, and a prototype was developed with Streamlit. Usability evaluations with five experts, based on Nielsen’s heuristics, informed iterative refinements. Results The finalized system includes three stages—automated video analysis, AI-supported evaluation, and personalized feedback—implemented through functions like video analysis, chatbot-guided scoring, and feedback generation. The system earned high usability scores (avg. > 4.5; 5-point Likert scale), showing strong intuitiveness and reliability. Conclus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feasibility and value of AI-based, human-AI collaborative tools for microteaching assessment in special education contex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가영(Gayoung Lee),유영진(Youngjin Yoo),이설희(Seolheel Lee). (2025).예비 특수교사를 위한 마이크로티칭 평가 지원 AI 시스템 개발 탐색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 (3), 89-108

MLA

이가영(Gayoung Lee),유영진(Youngjin Yoo),이설희(Seolheel Lee). "예비 특수교사를 위한 마이크로티칭 평가 지원 AI 시스템 개발 탐색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3(2025): 89-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