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에서의 개별화전환계획(ITP)에 대한 인식과 요구

이용수  0

영문명
Perceptions and Needs for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s(ITPs) in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수(Ji Su Kim) 이현주(Hyunjoo Lee)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3호, 45~6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2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장애학생의 성인기 전환을 위한 계획 수립과 교육은 일반적으로 중등학교 시기에 집중되고 있으나, 전환계획을 초기에 수립하여 조기에 체계적인 전환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이에 본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개별화전환계획(ITP)의 실행현황을 분석하고, 초등 특수교사의 ITP에 대한 인식과 요구 순위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장애 초등학생 대상 전환교육의 경험이 있는 초등 특수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분석, Borich 요구도 순위 및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에서 ITP를 수립하고 있는 22.5%의 응답자는 학교 자체적으로 제작한 양식을 가장 높은 비율로 사용하고 있었고, ITP를 수립하지 않는 응답자는 특수교육 운영계획이나 IEP 등의 대체 양식에 진로·직업관련 계획을 포함하고 있었다. 전환계획에서 ‘가족 참여’ 영역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인프라’ 영역의 중요도가 가장 낮은 평균을 보였다. 하위영역 중 최우선요구(1순위)는 ‘기관 간 협력’, ‘장애학생 참여’였으며, 문항중 최우선요구(1순위)는 ‘ITP에서 장애학생의 의견 제시 및 회의 참여’, ‘ITP에 유관기관 의견과 정보 반영’에대한 내용이었다. 논의 및 제언 연구결과에 따라 초등학교에서 ITP 실행 기반 마련에 대한 논의와 실제적인 실행 방안에 대한 고찰을 제시하였다. 본 기초연구를 토대로 초등학교 시기에 적합한 전환계획을 수립하고 교육하기 위한 후속연구가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While transition plan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ypically begins in secondary school, early and systematic planning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This study examines the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s (ITPs) in elementary schools and explor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prioritized needs regarding ITP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0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Borich’s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22.5%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establish ITPs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Others incorporated career and vocational plans into alternative documents such as special education plans or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IEPs). The highest needs were in inter-agency collaboration and student participation. At the item level, the most critical needs were reflecting students’ opinions, involving them in ITP meetings, and incorporating input from related agencies.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building a foundation for ITP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offers practical strategi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ransition plans in elementary school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수(Ji Su Kim),이현주(Hyunjoo Lee). (2025).초등학교에서의 개별화전환계획(ITP)에 대한 인식과 요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 (3), 45-68

MLA

김지수(Ji Su Kim),이현주(Hyunjoo Lee). "초등학교에서의 개별화전환계획(ITP)에 대한 인식과 요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3(2025): 45-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