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Identity Expression in Contemporary Jewelry Using Rice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공새롬(Sae-Rom Kong)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8집 2권, 191~20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류는 오랫동안 장신구를 통해 정체성과 사회적 위치를 표현해 왔으며, 현대에 들어서는 희귀성과 물질적 가치를 넘어, 제작자의 내면과 예술적 의도를 담는 수단으로 그 기능이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아시아 문화에서 생명과 공동체의 상징인 쌀을 장신구의 재료로 활용하여, 일상적 소재가 어떻게 정체성과 문화적 소속감을 시각화하는 상징적 매체로 전환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쌀의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활용한 현대장신구 작가들의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자 본인의 작업에 나타나는 반복과 집적, 색채를 통한 조형 실험과 수행적 접근을 통해 쌀의 예술적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쌀은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 개인의 서사와 감정을 담는 예술적 매체로 확장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roughout human history, jewelry has served as a medium for expressing identity and social status. In contemporary contexts, its function has expanded beyond rarity and material value to encompass the maker’s inner world and artistic intent. This study explores how rice—symbolizing life and community in various Asian cultures—can be used as a material in jewelry, transforming an everyday substance into a symbolic medium that visualizes identity and cultural belonging.
The research examines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rice and analyzes the works of contemporary jewelry artists who incorporate rice into their practice.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artistic potential of rice through the author’s own work, focusing on formative experimentation involving repetition, accumulation, and color, as well as a performative approach.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suggests that rice can transcend its conventional role as a staple food and be reimagined as an artistic medium that conveys personal narratives and emotional express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연구
Ⅲ. 쌀을 활용한 현대장신구 사례 연구
Ⅳ. 작품 연구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형디자인연구 제28집 2권 목차
- 아치볼드 녹스와 켈트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 - 리버티 & 코의 금속제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 공예가 백태원의 초기 활동 연구 - 나전칠기 교습생에서 공예가로 성장하기까지
- 현대 예술장신구의 비가시성 표현과 확장된 예술성 탐구
- 오프라인 전자제품 매장에서 기존 체험 마케팅과 감성 디자인 체험 마케팅 비교 연구
-
촉각적 상상력과 상징적 형상: 꽃말을 통한 종과 촛불끄개의 감성 조형 연구 - 연구자의 작품
시리즈를 중심으로 - 생태 위기 시대 비엔날레의 다학제적 실천과 협업 관행 - 헬싱키비엔날레의 ‘큐레이토리얼 인텔리전스’를 중심으로
- 19세기 ‘공예’ 개념의 탄생과 그 특성 연구
- Research on User Requirement Analysis and Design Optimization of Modular Furniture Based on KANO-AHP-QFD Model
- A Study on Service Design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 쌀을 활용하여 정체성을 표현한 현대장신구 연구
- 오브제 개념을 활용한 조형 주얼리 제작 연구
- 동양미학적 맥락에서 본 마츠모토 타이요 만화에 관한 연구 - <죽도 사무라이>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조형디자인연구 제28집 2권 목차
- 아치볼드 녹스와 켈트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 - 리버티 & 코의 금속제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 공예가 백태원의 초기 활동 연구 - 나전칠기 교습생에서 공예가로 성장하기까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