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of ‘Craft’ in the 19th Century and Its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허보윤(Boyoon Her) 채세강(Sekang Chae)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8집 2권, 97~11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공예를 인류 문명 초기부터 이어져 온 사물 제작의 연속선상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근대 산업화가 초래한 사회·문화적 변화에 대한 비판적 대응으로 발명된 개념적 범주로 파악하여, 19세기 말 공예의 탄생 배경과 탄생 과정 그리고 발명된 공예의 개념적 속성 분석을 목표하였다.
연구를 통해 당시 사회의 주류 담론을 윤리적으로 비판하며, 대안을 모색한 사상적·실천적 흐름 속에서 공예가 탄생했음을 확인했다. 즉, 공예는 19세기 말 영국에서, 근대 산업사회와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비판 사상을 바탕으로 윌리엄 모리스와 미술공예운동의 실천을 통해 발명된 개념이자 장르이다. 한편, 탄생 당시의 공예가 내포한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모리스의 소예술론을 중심으로그 속성들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공예는 발명되면서부터 생활예술, 주체적 노동, 수공, 전통과 버내큘러, 민중예술, 질적 추구, 사회저항운동으로 범주화할 수 있는 일곱 가지의 특성을 가진 영역이자 개념으로 발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craft not as a continuation of object-making practice in human history, but as a conceptual category invented in critical response to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brought by modern industrialization. It analyzes the background of craft’s emergence and development, as well as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ed craft.
This study reveals that craft emerged within an ideological and practical movement that ethically criticized the dominant discourses of the time and sought alternatives. Craft is a concept and genre invented in late 19th-century Britain, based on critical perspectives on modern industry and fine arts, through the practices of William Morris and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embedded in craft at the time, centered on Morris’s theory of lesser arts, seven attributes were identified: art for everyday life, integrated labor, handcraft, tradition and vernacular, art for all, high quality and social movement. These findings confirm that craft was invented as both a conceptual and practical domain encompassing these elements.
목차
Ⅰ. 서론
Ⅱ. ‘공예’의 탄생
Ⅲ. 결론: 공예 탄생의 의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형디자인연구 제28집 2권 목차
- 아치볼드 녹스와 켈트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 - 리버티 & 코의 금속제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 공예가 백태원의 초기 활동 연구 - 나전칠기 교습생에서 공예가로 성장하기까지
- 현대 예술장신구의 비가시성 표현과 확장된 예술성 탐구
- 오프라인 전자제품 매장에서 기존 체험 마케팅과 감성 디자인 체험 마케팅 비교 연구
-
촉각적 상상력과 상징적 형상: 꽃말을 통한 종과 촛불끄개의 감성 조형 연구 - 연구자의 작품
시리즈를 중심으로 - 생태 위기 시대 비엔날레의 다학제적 실천과 협업 관행 - 헬싱키비엔날레의 ‘큐레이토리얼 인텔리전스’를 중심으로
- 19세기 ‘공예’ 개념의 탄생과 그 특성 연구
- Research on User Requirement Analysis and Design Optimization of Modular Furniture Based on KANO-AHP-QFD Model
- A Study on Service Design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 쌀을 활용하여 정체성을 표현한 현대장신구 연구
- 오브제 개념을 활용한 조형 주얼리 제작 연구
- 동양미학적 맥락에서 본 마츠모토 타이요 만화에 관한 연구 - <죽도 사무라이>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조형디자인연구 제28집 2권 목차
- 아치볼드 녹스와 켈트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 - 리버티 & 코의 금속제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 공예가 백태원의 초기 활동 연구 - 나전칠기 교습생에서 공예가로 성장하기까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