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reation of Sculptural Jewelry Utilizing the Concept of Objet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신재섭(Jae-seob Shin) 신재협(Jae-hyup Shi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8집 2권, 209~23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예술에서 오브제 개념의 확장 양상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것이 현대 주얼리 디자인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탐색하여. 그 결과를 금속공예 기법을 기반으로 한 오브제 개념의 주얼리 제작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예술에서 오브제는 단순한 사물의 개념을 넘어, 개념과 감각, 사회적 맥락을 매개하는 조형 언어로 기능하며, 이러한 확장된 개념은 주얼리라는 매체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오브제 개념의 현대적 전개 양상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주얼리가 장식성과 착용성이라는 전통적 기능을 넘어 사유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예술 매체로서 어떻게 진화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특히 현대 주얼리의 실천 사례를 ‘능동적 조형 요소로서의 주얼리’와 ‘개념적 장치로서의 주얼리’라는 두 가지 흐름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조형 실험과 사회적 메시지가 주얼리를 매개로 어떻게 시각화되고 해석되는지를 비교·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주얼리가 감각적 경험뿐 아니라, 사회적 담론과 관람자의 인식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예술의 언어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전통적인 금속 세공기법과 반지 형식을 차용하면서도, 이를 관습적으로 기능하는 장식물로 사용하지 않고, 착용의 의미를 해체하고 개념적 질문을 유도하는 구조로 기능할 수 있는 작품을 제작했다. 작품들은, 전통적인 세공기법이나 틀을 해체 및 재구성하여 보여줌으로써, 정형화된 아름다움이나 주얼리의 개념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기도 하고, 주얼리가 인체를 떠나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실존적 객체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오브제 주얼리가 동시대 조형예술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독립적인 조형 언어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실천적으로 증명했다는 점에서 그 성과가 있다 하겠다.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과 조형적 실험 결과가, 동시대 조형예술 및 주얼리 디자인 분야의 후속 연구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anded concept of the objet in contemporary art and its application in contemporary jewelry design. The objet is redefined as a formative language that mediates concept, perception, and social context. Based on this theoretical foundation, the study explores how jewelry can move beyond traditional roles of decoration and wearability to become a medium for thought and communication. Contemporary jewelry is analyzed in two directions: as an active formative element and as a conceptual device. These approaches reveal how jewelry expresses experimental form and conveys social messages, positioning it within the broader discourse of visual art and culture. By incorporating artistic language into jewelry, the medium is reconsidered not only as a personal accessory but also as a platform for critical reflection. Jewelry is thus capable of addressing memory, identity, and social issues, expanding its meaning beyond material value. Through practical experimentation, the researcher produced works using traditional metalcraft techniques while deconstructing conventional functions and forms. The works challenge fixed definitions of beauty and reject the ornamental purpose of jewelry. By separating jewelry from the body, the pieces propose its potential as an autonomous, existential object with sculptural presence.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objet jewelry can function as an independent visual language within contemporary art. It suggests new directions for jewelry design rooted in conceptual and sculptural inquiry and encourages deeper engagement with jewelry as a medium of critical expression.
목차
Ⅰ. 서 론
Ⅱ. 오브제 주얼리의 이론적 고찰
Ⅲ. 작품 제작 연구
Ⅳ.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형디자인연구 제28집 2권 목차
- 아치볼드 녹스와 켈트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 - 리버티 & 코의 금속제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 공예가 백태원의 초기 활동 연구 - 나전칠기 교습생에서 공예가로 성장하기까지
- 현대 예술장신구의 비가시성 표현과 확장된 예술성 탐구
- 오프라인 전자제품 매장에서 기존 체험 마케팅과 감성 디자인 체험 마케팅 비교 연구
-
촉각적 상상력과 상징적 형상: 꽃말을 통한 종과 촛불끄개의 감성 조형 연구 - 연구자의 작품
시리즈를 중심으로 - 생태 위기 시대 비엔날레의 다학제적 실천과 협업 관행 - 헬싱키비엔날레의 ‘큐레이토리얼 인텔리전스’를 중심으로
- 19세기 ‘공예’ 개념의 탄생과 그 특성 연구
- Research on User Requirement Analysis and Design Optimization of Modular Furniture Based on KANO-AHP-QFD Model
- A Study on Service Design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 쌀을 활용하여 정체성을 표현한 현대장신구 연구
- 오브제 개념을 활용한 조형 주얼리 제작 연구
- 동양미학적 맥락에서 본 마츠모토 타이요 만화에 관한 연구 - <죽도 사무라이>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조형디자인연구 제28집 2권 목차
- 아치볼드 녹스와 켈트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 - 리버티 & 코의 금속제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 공예가 백태원의 초기 활동 연구 - 나전칠기 교습생에서 공예가로 성장하기까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