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Panpil-Munjado and Kukai in Japan
- 발행기관
- 한국전통미술융합진흥원
- 저자명
- 송현숙(Hyun Sook Song)
- 간행물 정보
- 『전통미술융합연구』제4호, 35~6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본의 화문자나 중국의 화조자, 우리나라의 혁필화(革筆畵)는 모두 납작한 판형의 붓인 판필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민간문자도이다. 비백서 작가들은 종종 비백서를 보다 쉽게 쓰기 위해 붓의 끝을 편평하게 다듬어서 만든 특수한 붓인 평필을 사용했는데, 민간에서는 민간문자도를 쓸 때 짐승의 털 대신 나무나 가죽을 판형으로 납작하게 다듬어서 만든 판필을 애용하였다,
일본의 공해는 당나라에서 비백을 배워 일본으로 들여왔다. <진언칠조상>은 진언종의 조사(祖師) 7명의 초상화를 그린 것인데 공해가 일본에서 직접 제작한 것은 용맹과 용지의 초상이다. 용맹과 용지를 포함한 5조상의 상단에 비백서가 있는데 이것들은 판필로 모방하여 쓰면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유사하기 때문에 판필비백서로 분류할 수 있다.
십여시(十如是)는 불법(佛法)을 설명하는 10가지 비유를 일컫는 말로 이 역시 공해가 판필로 썼으며 비백의 선이 나타나기 때문에 <비백십여시>라 한다. 이 작품은 相, 性, 體, 作, 緣 등의 글자가 나무, 새, 나비, 사람 등의 도상과 결합되어 있어서 문자도로 분류되며 판필로 쓰여졌기 때문에 판필문자도, 또는 판필비백문자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공해의 판필비백서나 판필문자도는 이후 이렇다 할 유물이나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서 안타깝게도 계승에 대한 역사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일본 화조자와는 분명히 전통 관계가 달라 보이는 판필비백문자도가 존재한다. 이것들은 칠복신이나 불교의 명호와 관련된 작품들이다. 따라서 주술적 힘을 필요로 하는 작품에 공해의 의도를 잇는 판필비백서의 전통이 미약하나마 이어져 왔을 수도 있다고 추론할 수는 있지만 검증을 위한 자료나 유물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영문 초록
In Japan, Korea and China there is a subset of letter painting including pictorial ideographs that are drawn using a Panpil, which refers to a flat plate-shaped brush. These are called Hanamoji(花文 字) in Japan, Hyeokpilhwa in Korea and Huaniaoji(花鳥字) in China. They generally pursued the Biback-effect with white lines appearing on brush strokes, so Bibackseo is considered the origin of these folk letter painting. Bibackseo artists often used Pyongpil, a special brush made by flattening the tip of a brush, to make writing easier on Bibackseo. However, when drawing folk letter painting, ordinary people preferred to use a Panpil made of flattened wood or leather in a plate shape instead of animal hair.
Kukai(空海) learned Bibackseo in the Tang Dynasty and brought it into Japan. is a work depicting the portraits of seven ancestor teachers of the Singon sect, and Kukai's own production in Japan is the portraits Ryuumyou and Ryuuchi. There are Bibackseos at the top of the portrait of 5 ancestor teachers including Ryuumyou and Ryuuchi, and they can be classified as Panpil-Bibackseo because they are so similar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en imitated with Panpil.
Junyoze(十如是) refers to 10 metaphors that explain Buddism, and it is called because Kukai wrote it with a Panpil brush and a white line appears on the stroke. This work is classified as letter painting because some letters are combined with the iconography of trees, birds, butterflies, and people, and it can be called Panpilmunjaso or Panpilbibakmunjaso because it is written in Panpil.
Unfortunately, no historical verification of succession has been made since there have been no significant relics or records of Kukai's Panpilbibackseo or Panilmunjado. However, there is Panpilbibakmunjado, which clearly has a different traditional relationship with today's Hanamoji in Japan. These are works related to the Seven Gods of Blessing or Buddha’s Name.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tradition of Panpilbabackseo, which connects Kukai's intentions to works that require magical power, may have been weak, but there is a lack of data or relics for verif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판필을 사용하는 비백문자도
Ⅲ. 당나라의 비백문자도와 공해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불교 문화 콘텐츠 정체성 정립 기초 연구 - 힙불교 현상과 강진 백련사 사례를 중심으로
- 일본의 판필문자도와 공해(空海)
- 관경십육관변상도에 의한 운주사 천불천탑의 새로운 해석 - 백련결사와 관련성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