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촉각적 상상력과 상징적 형상: 꽃말을 통한 종과 촛불끄개의 감성 조형 연구 - 연구자의 작품 시리즈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actile Imagination and Symbolic Form: An Emotional Formative Study of Bells and Candle Snuffers through the Language of Flowers : Focusing on Researcher’s Work Series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황진경(Jin-kyung Hwang)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제28집 2권, 254~276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꽃말의 상징성과 자연물의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종과 촛불끄개라는 일상적 도구에 담긴 감성적 의미와 의례적 상징을 감각 중심의 리빙 오브제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사계절을 고려하여 목련, 레몬트리, 로즈제라늄, 겨우살이를 선정하고 각각의 꽃말을 감정의 언어로 해석한 후, 종소리와 촛불끄기의 제스처에 내재된 의례적 기능과 결합하여 감정과 시간의 흐름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은 자연물의 외형을 사실적으로 구현하면서도 사용자가 꽃가지를 손에 쥐고, 종을 울리고, 불을 끄는 일련의 행위를 통해 감정의 시작과 마무리, 사유의 전환을 유도하는 감각적·의례적 구조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감각적 경험은 프랑스 철학자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의 감성 미학 이론과 깊이 연결된다. 그는 ‘촉각적 상상력’을 통해 손의 접촉이 기억과 감정을 자극하는 상상력의 물질적 기원이 된다고 보았고, ‘물질의 감성적 상징성’을 통해 금속, 나무, 향기 등의 물질이 감정과 기억을 환기하는 매체로 작용한다고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감각을 매개로 한 조형 언어의 상징적 의미 구조와 감성적 경험의 가능성을 해석적 관점에서 탐구하였으며,《Good News》시리즈는 감정·감각·의례·기억을 통합하여 기능성과 예술성, 일상성과 상징성을 연결하는 조형적 해석 시도로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the emotional meaning and ritual symbolism embedded in everyday tools—specifically a bell and a candle snuffer—into sense-centered living objects, based on the symbolic meanings of flower language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natural forms. Considering the four seasons, magnolia, lemon tree, rose geranium, and mistletoe were selected, and their respective meanings were interpreted as a language of emotion. These were combined with the inherent ritual functions of gestures such as ringing the bell and snuffing the candle, in an attempt to symbolically express the flow of emotion and time. While faithfully reproducing the external forms of natural objects, the work explores a sensory and ritual structure that guides the initiation and conclusion of emotion and the transition of thought through a series of actions—holding the flower branch, ringing the bell, and extinguishing the flame. This sensory experience is deeply connected to the aesthetic theory of the French philosopher Gaston Bachelard, who argued that tactile imagination originates in the material interaction of touch that evokes memory and emotion, and that materials such as metal, wood, and fragrance serve as mediums for conveying emotion through the poetic symbolism of matter. Based on this theoretical framework, the study explores, from an interpretive perspective, the symbolic structure of formative language mediated by the senses and the potential of emotional experience. The Good News series is proposed as an interpretive formative attempt that integrates emotion, sense, ritual, and memory, linking functionality and artistry, everydayness and symbolis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Good News》 시리즈의 조형적 접근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진경(Jin-kyung Hwang). (2025).촉각적 상상력과 상징적 형상: 꽃말을 통한 종과 촛불끄개의 감성 조형 연구 - 연구자의 작품 시리즈를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 28 (2), 254-276

MLA

황진경(Jin-kyung Hwang). "촉각적 상상력과 상징적 형상: 꽃말을 통한 종과 촛불끄개의 감성 조형 연구 - 연구자의 작품 시리즈를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 28.2(2025): 254-2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