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arly Activities of Craft Artist Tae Woun Paik : From a Mother-of-Pearl Lacquerware Apprentice to an Emerging Craft Artist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성석(Seok Sung)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8집 2권, 31~5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평범한 시골 소년이던 백태원이 한반도의 굴곡진 역사를 몸소 체험하며 한 명의 청년 공예가로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탄생한 작품들과 함께 자연스레 형성된 백태원만의 공예관을 규정해보고자 하였다.
백태원은 태천칠공예소와 조선총독부 중앙시험소에서의 학습을 통해 전통공예의 기법과 정신, 근대공예의 기술과 제도를 모두 습득하게 된다. 또한 과거의 법식을 벗어나 창조성과 작가정신을 추구하는 해방 전후 미술계의 경향을 간파하고 이를 흡수하였는데, 덕분에 동시대 한국 공예계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디자인 감각과 조형성을 갖춘 작품들을 조선미술전람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그리고 본인의 첫 개인전에서 차례대로 선보일 수 있었다.
나전칠기가 품은 전통에 창조성을 담아 공예의 미래를 제시하려던 백태원의 관점은 이후 세대의 공예가들에게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지금도 유효하기에 그 의의가 뚜렷하다. 작품 실견을 토대로 추가적인 연구가 진척된다면 공예계에서의 위상에 비해 깊이 논의되지 못했던 백태원의 작품세계를 더욱 면밀히 통찰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journey of Tae Woun Paik, an ordinary boy from a rural village, as he personally experienced the turbulent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matured into a young craft artist. It aims to define Paik’s unique philosophy of craft, which naturally took shape alongside the works he produced throughout this transformative process.
Through his training at the Taecheon Lacquerware Craft School and the Central Research Laboratory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aik acquired both the techniques and spirit of traditional craft, as well as the technologies and systems of modern craft. Furthermore, he discerned and embraced the shifting trends in the post-liberation art world, which moved away from traditional formalism toward creativity and artistic individuality. This enabled him to present works—at the Joseon Art Exhibition,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Korea, and his first solo show—that displayed a design sensibility and sculptural quality rarely seen in Korean craft at the time.
Paik’s perspective, which sought to suggest the future of craft by blending tradition with creativity in mother-of-pearl lacquerware, had a profound impact on subsequent generations of craft artists and remains relevant today, underscoring its significance. If additional research is developed based on direct examination of his works, it is expected that a deeper understanding of Tae Woun Paik’s artistic world—long underexplored despite his standing in the craft community—can be achieved.
목차
Ⅰ. 서 론
Ⅱ. 성장기 백태원의 학습 경험
Ⅲ. 공예가로의 등장과 초기 작품활동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형디자인연구 제28집 2권 목차
- 아치볼드 녹스와 켈트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 - 리버티 & 코의 금속제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 공예가 백태원의 초기 활동 연구 - 나전칠기 교습생에서 공예가로 성장하기까지
- 현대 예술장신구의 비가시성 표현과 확장된 예술성 탐구
- 오프라인 전자제품 매장에서 기존 체험 마케팅과 감성 디자인 체험 마케팅 비교 연구
-
촉각적 상상력과 상징적 형상: 꽃말을 통한 종과 촛불끄개의 감성 조형 연구 - 연구자의 작품
시리즈를 중심으로 - 생태 위기 시대 비엔날레의 다학제적 실천과 협업 관행 - 헬싱키비엔날레의 ‘큐레이토리얼 인텔리전스’를 중심으로
- 19세기 ‘공예’ 개념의 탄생과 그 특성 연구
- Research on User Requirement Analysis and Design Optimization of Modular Furniture Based on KANO-AHP-QFD Model
- A Study on Service Design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 쌀을 활용하여 정체성을 표현한 현대장신구 연구
- 오브제 개념을 활용한 조형 주얼리 제작 연구
- 동양미학적 맥락에서 본 마츠모토 타이요 만화에 관한 연구 - <죽도 사무라이>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조형디자인연구 제28집 2권 목차
- 아치볼드 녹스와 켈트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 - 리버티 & 코의 금속제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 공예가 백태원의 초기 활동 연구 - 나전칠기 교습생에서 공예가로 성장하기까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