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래 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경력단절 전업주부의 자기효능감 및 정서 변화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Song-Centered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on the Self-Efficacy and Emotional Changes of Career-Interrupted Full-Time Housewives
발행기관
한국음악치료학회
저자명
홍정빈 황은영
간행물 정보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27권 제2호, 79~9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래 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경력단절 전업주부의 자기효능감 향상 및 정서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총 20명으로,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작위로 배치되었다. 사전검사 실시 후 실험집단에는 주 1회 회기당 90분, 총 8회기로 구성된 노래 중심의 치료적 음악활동을 제공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별도의 중재를 적용하지 않았다. 중재 종료 후에는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여 사후검사를 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자기효능감은 Cha(1997)가 개정한 자기효능감 척도를, 정서 변화는 Watson 외(1988)가 개발한 한국판 PANAS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 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자기효능감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하위 변인 중 자신감과 과제난이도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노래 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부적 정서는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정적 정서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래 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경력단절 전업주부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적 역량 강화를위한 효과적인 중재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사회의 쟁점이 되고 있는 경력단절 전업주부들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다양한 음악활동 개발과 임상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ng-centered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on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and emotional changes in career-interrupted full-time housewives. A total of 2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n=10) or the control group(n=10). After a pretes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total of eight sessions of song-centered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conduct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intervention. A post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ame instruments.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the scale revised by Cha(1997), and emotional changes were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ANAS(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s) developed by Watson et al.,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icacy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ubscales of 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Second, among the emotional variabl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negative affect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positive affe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ng-centered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can serve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promot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nhancing inner strength in career-interrupted full-time housewives. Furthermore, the result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clinical application of various supportive programs addressing the psychological needs of this population, which continues to be a relevant issue in contemporary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정빈,황은영. (2025).노래 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경력단절 전업주부의 자기효능감 및 정서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7 (2), 79-99

MLA

홍정빈,황은영. "노래 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경력단절 전업주부의 자기효능감 및 정서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7.2(2025): 79-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