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ear of Crime in Remote Areas: Model Verification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신명현(Myung Hyun Shin) 김병준(Byeong Jun Kim) 최응렬(Eung Ryul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4권 2호, 251~28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인구 감소로 사회해체를 경험하고 있는 도서·산간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범죄두려움의 결정요인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무질서 이론, 집합효율성 이론 및 경찰정당성 이론을 근거로 세 가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상대적 설명력을 비교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각 변수 간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먼저, 무질서 모형에서 지역무질서가 범죄두려움에 직접 효과를 보였으며, 사회응집력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집합효율성 모형은 모든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경찰정당성 모형에서는 경찰효과성이 사회적 무질서를 매개하여 범죄두려움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 연구결과는 도서·산간지역에서 경찰신뢰와 효과성 인식이 범죄두려움을 낮추는 핵심 요인임을 시사한다. 그리고 인구소멸 지역의 경찰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fear of crime among residents in island and mountainous areas of South Korea, where communities are experiencing social disorganization due to population decline. Based on disorder theory, collective efficacy theory, and police legitimacy theory, three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developed and compared in terms of their relative explanatory power. Using secondary survey data collected from 818 resid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ausal paths among key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disorder model, community disorder had a significant direct positive effect on fear of crime. In the collective efficacy model, none of the hypothesized pa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trast, the police legitimacy model demonstrated the strongest explanatory power, with police effectiveness having a significant indirect negative effect on fear of crime, mediated by social disord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rust in police and perceptions of police effectiveness are key factors in mitigating fear of crime in island and mountainous area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ing strategies and crime prevention policies in declining rural commun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단 배후 외국인 밀집지역 환경진단 연구
- 가족 응집력의 완충효과: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살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 경찰 효과성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CCTV 효과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 발전에 있어서 주도적 행동에 관한 연구 - 공공서비스 동기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 내 무례함의 전이: 자기무례로 향하는 경로와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 경찰 근무복 편안함 인식과 경찰관의 자기정당성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 청소년의 온라인 미디어 사용과 폭력성의 관계: 폭력 및 혐오표현 노출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온라인 공간의 익명성과 집합효율성은 온라인 사적제재 참여를 유도하는가?
- 자치경찰활동 수요 분석: 정책공모전 내용분석을 통한
- 여성경찰관에 대한 외부평가가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일-삶 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관의 위험한 직무 기피 관련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인천 층간소음 흉기 난동 사건을 중심으로
- 도서·산간지역에서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모형에 대한 검증
- 해양경찰의 정당성 인식에 관한 실증연구
- 경찰의 음주 운전 단속에 관한 법리적 쟁점과 논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