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External Evaluations of Female Police Officers on Professional Consciousn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고가영(Ga Young Ko) 유효은(Hyo Eun Yu)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4권 2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여성경찰관이 경험하는 사회적 평가와 직업정체성 간의 관계에서 조직의 일-삶 균형 지원이 갖는 조절 메커니즘을 탐구하였다. 제주지역 현직 여성경찰관 290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부평가와 워라밸 모두 직업의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워라밸의 대립조절효과가 발견되어, 워라밸이 낮을 때는 외부평가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만 워라밸이 높을 때는 그 영향력이 완만해져 외부평가로부터 직업의식을 보호하는 완충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경찰관의 결혼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별 분석 결과, 결혼경험이 없는 여성경찰관 집단에서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결혼경험이 있는 여성경찰관 집단에서는 강한 조절효과가 나타나 가정과 직장의 이중 역할을 수행하는 여성경찰관에게 워라밸이 더욱 중요한 심리적 자원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경찰관의 직업정체성 강화를 위해서는 제도적 완비를 넘어선 조직문화의 변화와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moderating mechanism of organizational work-life balance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valuation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experienced by female police officer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290 female police officers currently working in Jeju,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external evaluation and work-life balance positively influence professional consciousness. Notably, a moder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was identified: when work-life balance was low, the influence of external evaluation was significant, but when work-life balance was high, this influence was mitigated, suggesting that work-life balance acts as a buffer protecting professional consciousness from external evaluation. Group analysis based on marriage experience revealed that no moderating effect was observed in the group of female police officer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whereas a strong moderating effect was observed in the group with marriage experience, confirming that work-life balance serves as a more critical psychological resource for female police officers balancing dual roles in family and work.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female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cultural changes and life-cycle-based customized support measures are necessary beyo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단 배후 외국인 밀집지역 환경진단 연구
- 가족 응집력의 완충효과: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살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 경찰 효과성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CCTV 효과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 발전에 있어서 주도적 행동에 관한 연구 - 공공서비스 동기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 내 무례함의 전이: 자기무례로 향하는 경로와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 경찰 근무복 편안함 인식과 경찰관의 자기정당성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 청소년의 온라인 미디어 사용과 폭력성의 관계: 폭력 및 혐오표현 노출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온라인 공간의 익명성과 집합효율성은 온라인 사적제재 참여를 유도하는가?
- 자치경찰활동 수요 분석: 정책공모전 내용분석을 통한
- 여성경찰관에 대한 외부평가가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일-삶 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관의 위험한 직무 기피 관련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인천 층간소음 흉기 난동 사건을 중심으로
- 도서·산간지역에서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모형에 대한 검증
- 해양경찰의 정당성 인식에 관한 실증연구
- 경찰의 음주 운전 단속에 관한 법리적 쟁점과 논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