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Differential Peer Associations on juvenile Delinquency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종길(Jong Gil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4권 2호, 197~22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해양경찰의 정당성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실증이 가능한 개념적 토대 위에서 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며, 그 접근은 해양경찰의 업무 특성에 맞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령, 경찰 기관의 정당성은 이와 대면하는 시민의 입장에서 고려해야 할 것이나, 해양경찰 업무의 특성으로 인해 이를 실질적으로 측정하는 데 구조적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해양경찰의 자기정당성에 주목하여 해양경찰의 정당성 수준을 개념화하고 육상경찰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대표적으로 해양경찰 자기평가 정당성과 외부 정당성에 대해 t-검정 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해양경찰은 육상경찰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자기정당성을 보였으며, 자기평가 정당성과 외부 정당성 간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해양경찰이 자신들의 권한 행사에 대해 내면적으로 낮은 자신감을 갖고 있으며, 시민의 평가를 고려하는 데 있어서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해양이라는 특수 환경과 준군사적 조직 구조는 민주적 가치 내재화와 정당성 형성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해양경찰의 자기정당성 인식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육상경찰과 비교함으로써 해양경찰 정당성 담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향후, 보다 대표성 있는 표본과 심층적 분석을 통해 해양경찰 정당성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verification of the democracy or legitimacy of the Korea Coast Guard should be discussed on a conceptual basis that can be empirically verified, and the approach can be reviewed from various perspectives. For example, it may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a citizen facing the maritime police, but due to limited limitations in certain fields, there are structural difficulties in practicall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time police organization.
Representative, it was discussed focusing on the t-test method based on Self-assessed legitimacy, which means coast guard police officer himself belief in authority as a self-evaluating police officer and external legitimacy, which means the police's belief in the legitimacy of the police as evaluated by citize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Korea Coast Guard showed a higher level of legitimacy overall compared to the Korean national police. In addition, it was tentatively evaluated that the Korea Coast Guard had a balanced legitimacy percep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Korea Coast Guard maintained a negative perception of citizens' evaluation. It is judged to be due to the limited cases in which the procedure and performance of the work can be shown to citize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단 배후 외국인 밀집지역 환경진단 연구
- 가족 응집력의 완충효과: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살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 경찰 효과성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CCTV 효과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 발전에 있어서 주도적 행동에 관한 연구 - 공공서비스 동기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 내 무례함의 전이: 자기무례로 향하는 경로와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 경찰 근무복 편안함 인식과 경찰관의 자기정당성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 청소년의 온라인 미디어 사용과 폭력성의 관계: 폭력 및 혐오표현 노출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온라인 공간의 익명성과 집합효율성은 온라인 사적제재 참여를 유도하는가?
- 자치경찰활동 수요 분석: 정책공모전 내용분석을 통한
- 여성경찰관에 대한 외부평가가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일-삶 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관의 위험한 직무 기피 관련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인천 층간소음 흉기 난동 사건을 중심으로
- 도서·산간지역에서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모형에 대한 검증
- 해양경찰의 정당성 인식에 관한 실증연구
- 경찰의 음주 운전 단속에 관한 법리적 쟁점과 논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