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nvironmental Evaluation for Immigrant Enclave in Industrial Complex Hinterland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승현(Seung Hyun Kim) 김중곤(Joongg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4권 2호, 135~16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농지역의 고령화 및 노동력 부족 문제가 심화하면서 공단 배후 외국인 밀집지역이 대거 형성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단 배후 외국인 밀집지역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높이기 위해, 경상북도 구미시의 두 개 행정구역(인동동·상모사곡동)에 대해 원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CPTED(범죄예방환경설계)원칙에 기반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현장 진단을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원주민들은 외국인에 대해 중립적 태도를 보였으며, 실제 접촉 빈도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거부감은 크지 않으나 상호작용 기반의 관계 형성이 부족함을 시사한다.
현장 진단 결과, 두 지역 모두에서 영역성 약화, 유지관리 체계의 미흡, 분리수거 체계 부족, 공공공간의 무질서 등 공통된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물리적 노후화는 심각하지 않았지만, 거주민 간 자발적 통제나 공동체적 책임 의식을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은 매우 취약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해체이론과 집단갈등이론의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으며, 외국인 밀집지역의 환경 해체가 주민 간 갈등과 지역사회 통합 저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실천적인 정책을 제안한다. 첫째, 공단 배후 외국인 밀집지역의 공공공간에 대해 조경, 안내 표식, 경계선 등의 시각적 설계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사적·공적 공간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거주민의 소속감과 공간 관리 책임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분리수거 및 청결유지에 관한 외국인 주민 대상 교육과 불법투기 단속 등의 행정 개입울 병행하여, 외국인 주민의 규범 인식을 높이는 실천 전략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Growing labor shortages and rural aging in South Korea have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immigrant enclaves in the hinterlands of industrial complexes. This study investigates two immigrant enclaves in Gumi industrial complex hinterland, by analyzing native residents’ perceptions and evaluat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CPTED-based field assessments.
Survey results indicated neutral attitudes toward immigrants and low levels of interaction, suggesting limited social integration despite minimal hostility. Environmental evaluations revealed common issues, including unclear territorial boundaries, inadequate maintenance, poor waste management, and disordered public spaces. Although structural deterioration was not severe, the physical setting lacked elements that support informal social control and collective responsibility.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disorganization and group conflict theor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environmental neglect in immigrant enclaves contributes to social fragmentation and undermines community cohesion. In response, the study proposes two policy directions: (1) integrating visual design elements—such as landscaping, signage, and defined spatial boundaries—to foster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shared spaces; and (2) implementing targeted educational programs on waste separation and public hygiene for immigrant residents, alongside consistent enforcement against illegal dumping, to cultivate shared norms and collective account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단 배후 외국인 밀집지역 환경진단 연구
- 가족 응집력의 완충효과: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살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 경찰 효과성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CCTV 효과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 발전에 있어서 주도적 행동에 관한 연구 - 공공서비스 동기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 내 무례함의 전이: 자기무례로 향하는 경로와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 경찰 근무복 편안함 인식과 경찰관의 자기정당성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 청소년의 온라인 미디어 사용과 폭력성의 관계: 폭력 및 혐오표현 노출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온라인 공간의 익명성과 집합효율성은 온라인 사적제재 참여를 유도하는가?
- 자치경찰활동 수요 분석: 정책공모전 내용분석을 통한
- 여성경찰관에 대한 외부평가가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일-삶 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관의 위험한 직무 기피 관련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인천 층간소음 흉기 난동 사건을 중심으로
- 도서·산간지역에서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모형에 대한 검증
- 해양경찰의 정당성 인식에 관한 실증연구
- 경찰의 음주 운전 단속에 관한 법리적 쟁점과 논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