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ocial Meanings of Childbearing and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in Korea: A Micro-Level Analysis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김지성(Ji S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5권 제2호, 199~22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저출산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자녀 및 출산에 부여되는 사회적 의미와 출산 선택에 미치는 사회문화적 영향을 개인의 서사(narrative)를 통해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사회구성주의 관점과 내러티브 분석 방법을 토대로 출산 선택 경험이 있는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는 정서적 의미보다는 경제적·심리적 부담과 더 밀접하게 인식되었으며, 출산은 감정적 동기보다 현실 조건 속에서 조율되는 선택으로 의미화되었다. 출산 선택에는 사회문화적 기대와 구조적 제약이 함께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교차성 관점에서 여성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계층의 출산은 더욱 어려운 선택으로 서사화되었다. 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에 대해서는 대상의 한정성, 실효성 부족, 현실과의 괴리 등으로 인해 무용감과 배제감을 표출하는 서사가 다수 나타났으며, 이러한 정책 인식은 성별·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정체성과 교차하며 출산 결정에 작용하는 양상으로 서사화되었다. 본 연구는 자녀·출산의 사회적 의미, 성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출산 결정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탐색함으로써, 저출산 대응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정책수혜자의 인식과 경험을 반영한 미시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ocial meanings of children and fertility, and the sociocultural influences on reproductive choices, through personal narratives, to better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low fertility in South Korea. It also analyzes perceptions of the government‘s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Based on a social constructionist perspective and narrativ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0 men and women who had made decisions about childbirth. The analysis revealed that children were more often perceived as economic and psychological burdens than as sources of emotional reward, and that childbirth was commonly framed as a decision negotiated within practical realities, rather than one guided by emotion. Sociocultural pressures and structural constraints jointly shaped decisions about childbirth. From an intersectional perspective, childbirth was often narrated as a particularly difficult choice—especially for women and individuals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Narratives regarding government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expressed feelings of futility and exclusion, citing limited target coverage, lack of effectiveness, and a disconnect from lived realities. Perceptions of these policies intersected with gender and socioeconomic identity, influencing reproductive choice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 micro-level approach that reflects the perceptions and lived experiences of policy recipient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addressing low fert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저출산 대응정책에 대한 사회구성주의적 접근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적노후소득보장체계의 통합적 구조개혁 방향 탐색 : 근거이론 기반 전문가 인식 검토
- 지방정부 평판이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의 조직간 협업에 미치는 영향: 민간 공급기관의 협업 활성화 인식을 중심으로
- 경기도 남·북부의 지역문화 격차 해소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분석과 정책적 함의
- 주택보유 가구의 자산 구성과 조절효과 분석: 소득과 직업 안정성을 중심으로
-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출산의 사회적 의미와 한국 저출산 대응정책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미시적 분석
- 병원 종사자의 조직 갈등과 조직 침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수소충전소 입지와 주민수용성에 관한 실증 연구: 서울시 사례
- 차등분권은 필요한가 : 기준재정수요와 재정이전효과에 근거한 행정수요 대응 및 지방 다양성 확보의 논리 탐색
- 공공기관에서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교육배려계층 지원 법제도 분석과 개선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