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택보유 가구의 자산 구성과 조절효과 분석: 소득과 직업 안정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30

영문명
An Analysis of Asset Composition and Moderating Effects in Homeowning Households: Focusing on Income and Occupational Stability
발행기관
경인행정학회
저자명
김종찬(Jong-Chan Kim) 최창용(Changyong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정책연구』제25권 제2호, 23~4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정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주택보유 가구의 자산 포트폴리오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주택자산의 구조적 특성이 금융자산 내 위험자산 보유 비중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가계 소득과 직업 안정성의 조절효과를 계량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자산이 순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위험자산 보유 비중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반면, 주택가격과 가계 소득 수준은 위험자산 보유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택가격과 가계 소득의 상호작용항은 위험자산 보유에 부(-)의 영향을 미쳐, 고소득 가계일수록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위험자산 투자 증가가 제한됨을 시사한다. 아울러, 직업 안정성은 위험자산 보유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며, 직업 안정성과 주택자산 비중의 상호작용 또한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산구성에 있어 가계의 경제적 기반과 심리적 요인이 상호작용함을 보여주며, 정책적으로는 주택 편중을 완화하고 자산다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맞춤형 금융지원 및 재무안정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asset portfolio composition among households owning residential property, utilizing data from the Fiscal Panel Survey. In particular, it examines how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assets—specifically the proportion of housing within net assets, housing prices, and housing-related debt—affect the share of risky assets within household financial portfolios. The analysis also explores the moderating roles of household income and occupational stability. The findings reveal that a higher proportion of housing assets within net asset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lower share of risky financial assets. Conversely, both housing prices and household income level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isky asset holdings.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housing prices and income demonstrates a negative effect, indicating that for higher-income households, increases in housing prices do not necessarily translate into greater investment in risky assets. Moreover, occupational stability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risky asset ownership, and its interaction with housing asset proportion also exert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These results highlight the layered influence of economic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predispositions on household portfolio decisions. From a policy perspective,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designing tailored financial policies that mitigate excessive reliance on housing assets and promote diversified asset allocation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가설 및 데이터
Ⅳ. 통계분석 및 가설검정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찬(Jong-Chan Kim),최창용(Changyong Choi). (2025).주택보유 가구의 자산 구성과 조절효과 분석: 소득과 직업 안정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5 (2), 23-46

MLA

김종찬(Jong-Chan Kim),최창용(Changyong Choi). "주택보유 가구의 자산 구성과 조절효과 분석: 소득과 직업 안정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5.2(2025): 23-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