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Local Government’s Bureaucratic Reputation on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in the Social Service Delivery :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Private Organizations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박경화(Kyeong hwoa Park) 이승혁(David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5권 제2호, 69~9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국내 사회서비스 정책은 노인, 어린이, 장애인 등 주요 집단 및 지역사회 및 수요자 중심의 공급체계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민간 공급기관의 참여는 양적으로 확대되었으나, 사회서비스 공급체계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민간 공급기관 간의 협업 및 연계 강화를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본 연구는 조직 간 협업을 강화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 간 협업에 있어 지방정부의 평판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민관협의체 참여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민관협의체 제도는 지방정부 평판과 민간 기관 간 협업의 긍정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특히 이러한 영향은 비영리 부문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정부 주도의 공공 이니셔티브인 사회서비스 공급체계에서 민간 공급기관 간의 협업 강화를 위해서는 정부 조직에 대한 평판뿐만 아니라 조직별 유형 및 특성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rise of complex social issues has led to increasingly diverse demands for social services to improve individual welfare and quality of life. In respons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reforming social service delivery at the community level, resulting in significant growth in nongovernmental providers from both private and nonprofit sectors. However, these changes have focused more on quantity than quality.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the Bureaucratic Reputation of local government and collaboration mechanisms on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among private-sector social service providers. The findings show that the Bureaucratic Reputation positively influences collaboration, regardless of intensity or sectoral differences. However, participation in collaborative councils negatively affects collaboration, particularly in the nonprofit sector, although it does enhanc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ureaucratic Reputation and collaboration. Overall,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ocal government’s Bureaucratic Reputation in fostering effective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in social service delivery.
목차
Ⅰ. 서론
Ⅱ. 국내 사회서비스 공급체계의 특징
Ⅲ. 이론적 논의 및 가설
Ⅳ. 연구 설계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적노후소득보장체계의 통합적 구조개혁 방향 탐색 : 근거이론 기반 전문가 인식 검토
- 지방정부 평판이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의 조직간 협업에 미치는 영향: 민간 공급기관의 협업 활성화 인식을 중심으로
- 경기도 남·북부의 지역문화 격차 해소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분석과 정책적 함의
- 주택보유 가구의 자산 구성과 조절효과 분석: 소득과 직업 안정성을 중심으로
-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출산의 사회적 의미와 한국 저출산 대응정책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미시적 분석
- 병원 종사자의 조직 갈등과 조직 침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수소충전소 입지와 주민수용성에 관한 실증 연구: 서울시 사례
- 차등분권은 필요한가 : 기준재정수요와 재정이전효과에 근거한 행정수요 대응 및 지방 다양성 확보의 논리 탐색
- 공공기관에서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교육배려계층 지원 법제도 분석과 개선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