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act of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김용운(Yong Woon Kim) 고재권(Jae kwon Ko)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5권 제2호, 179~19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직 이론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던 조직몰입에 대하여 임파워먼트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도시공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448부의 설문 자료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자료는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부합한다. 둘째, 조직문화 중 집단문화, 발전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 모두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결과는 조직문화 중 합리문화와 발전문화에서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가 가진 이론적・정책적 시사점 등에 대하여 도출하였다.본 연구는 조직 이론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던 조직몰입에 대하여 임파워먼트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도시공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448부의 설문 자료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자료는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부합한다. 둘째, 조직문화 중 집단문화, 발전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 모두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결과는 조직문화 중 합리문화와 발전문화에서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가 가진 이론적・정책적 시사점 등에 대하여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n organizational theory.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ulture type was confi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study, 44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of ○○ Urban Corporation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mpowerment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among organizational cultures, group culture, developmental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result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in r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among organizational culture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적노후소득보장체계의 통합적 구조개혁 방향 탐색 : 근거이론 기반 전문가 인식 검토
- 지방정부 평판이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의 조직간 협업에 미치는 영향: 민간 공급기관의 협업 활성화 인식을 중심으로
- 경기도 남·북부의 지역문화 격차 해소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분석과 정책적 함의
- 주택보유 가구의 자산 구성과 조절효과 분석: 소득과 직업 안정성을 중심으로
-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출산의 사회적 의미와 한국 저출산 대응정책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미시적 분석
- 병원 종사자의 조직 갈등과 조직 침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수소충전소 입지와 주민수용성에 관한 실증 연구: 서울시 사례
- 차등분권은 필요한가 : 기준재정수요와 재정이전효과에 근거한 행정수요 대응 및 지방 다양성 확보의 논리 탐색
- 공공기관에서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교육배려계층 지원 법제도 분석과 개선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