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s Asymmetric Decentralization Necessary? : Exploring Administrative Demands and Local Diversity through Standard Fiscal Needs and Transfers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신예지(Yeji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5권 제2호, 149~17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부 간 재정관계에서 지방의 다양성을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대안으로서 차등분권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향후 재정조정제도의 개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구 100만 이상 특례시에 초점을 두고, 법상 재정 특례의 한계와 재정 자료를 토대로 특례시의 재정 현황을 진단하였다.
차등분권은 자치단체의 다양한 재정 수요와 역량을 고려하여 권한과 재원 부여하는 분권 방식으로, 획일적 분권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수단으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 100만 이상 특례시에 대한 재정 특례의 구체화 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정조정에 있어서도 기계적 형평의 추구로 자치단체가 가진 재정력 순위가 역전되는 등 자치단체 간 다양성의 발현이 억제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재정 특례 논의가 설득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재원의 순증을 꾀하는 것이 아닌 사무 이양에 상응하는 합리적이고 정밀한 비용 추계가 선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대도시의 특수 행정 수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기준재정수요 산정 산식의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함으로써, 특례시에서 나아가 향후 지방소멸 등 다양화되는 재정수요에 대응한 정부 간 재정관계의 재구조화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aise the necessity of Asymmetric Decentralization as an institutional alternative that can reflect local diversity in 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 and to propose tasks to improve the intergovernmental transfer system in the future. To this end, we focused on special case cities with a population of more than 1 million, and diagnosed the fiscal status of special case cities based on the limitations of fiscal special case under the law and fiscal data.
Asymmetric Decentralization is a decentralization system that grants authority and financial resources in consideration of the diverse financial needs and capa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and is discussed as a means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symmetric decentralization. However, in Korea, the level of fiscal special case for special case cities with a population of 1 million or more has been found to be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pursuit of mechanical equity in finance has led to the reversal of the ranking of local governments' fiscal capacit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diversity among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for the discussion of fiscal special case to be convincing, it is necessary to secure justification through reasonable and precise cost estimation of the transferred tasks, rather than simply seeking a net increase in financial resources. In addition, by suggesting that improvements in the calculation formula to reflect the special needs of large cities are needed when calculating standard administrative need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restructure 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 in response to diversified fiscal needs, including the disappearance of local governments.This study aims to raise the necessity of Asymmetric Decentralization as an institutional alternative that can reflect local diversity in 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 and to propose tasks to improve the intergovernmental transfer system in the future. To this end, we focused on special case cities with a population of more than 1 million, and diagnosed the fiscal status of special case cities based on the limitations of fiscal special case under the law and fiscal data.
Asymmetric Decentralization is a decentralization system that grants authority and financial resources in consideration of the diverse financial needs and capa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and is discussed as a means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symmetric decentralization. However, in Korea, the level of fiscal special case for special case cities with a population of 1 million or more has been found to be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pursuit of mechanical equity in finance has led to the reversal of the ranking of local governments' fiscal capacit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diversity among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for the discussion of fiscal special case to be convincing, it is necessary to secure justification through reasonable and precise cost estimation of the transferred tasks, rather than simply seeking a net increase in financial resources. In addition, by suggesting that improvements in the calculation formula to reflect the special needs of large cities are needed when calculating standard administrative need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restructure 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 in response to diversified fiscal needs, including the disappearance of local govern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설계
Ⅲ. 대도시 특례 논의와 재정 특례 현황
Ⅳ. 정부 간 재정관계에서 특례시 재정 실태와 대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적노후소득보장체계의 통합적 구조개혁 방향 탐색 : 근거이론 기반 전문가 인식 검토
- 지방정부 평판이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의 조직간 협업에 미치는 영향: 민간 공급기관의 협업 활성화 인식을 중심으로
- 경기도 남·북부의 지역문화 격차 해소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분석과 정책적 함의
- 주택보유 가구의 자산 구성과 조절효과 분석: 소득과 직업 안정성을 중심으로
-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출산의 사회적 의미와 한국 저출산 대응정책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미시적 분석
- 병원 종사자의 조직 갈등과 조직 침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수소충전소 입지와 주민수용성에 관한 실증 연구: 서울시 사례
- 차등분권은 필요한가 : 기준재정수요와 재정이전효과에 근거한 행정수요 대응 및 지방 다양성 확보의 논리 탐색
- 공공기관에서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교육배려계층 지원 법제도 분석과 개선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