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0년대 초기 유치환의 시적 전환과 동인지 『시와 시론』의 위상
이용수 0
- 영문명
- The poetic transformation of Yu Chi-hwan in the early 1950s and the status of the literary magazine Poetry and Poetics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최호영(Ho-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24輯, 231~26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동인지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하여 1950년대 초기 유치환의 시 세계의 변모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그간 유치환이 1930년대부터 1960년대에 이르는 한국 문단에서 활발한 시작 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던 동력 중 하나로서 동인 활동에 주목한 바 있으나, 아직 그가 발행인으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감행했던 『시와 시론』에 관해서는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다. 실제로 이 동인지는 외적인 측면에서 긴밀한 인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실천적인 시 정신을 표방하고 있었으며, 내적인 측면에서 1950년대 초기 유치환의 시적 전환에 있어 일종의 가교역할을 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이 글에서는 『시와 시론』에 수록된 유치환의 텍스트를 이전의 시집 『보병과 더부러』(1951)와 이후의 시집 『예루살렘의 닭』(1953)의 경계에 놓인 변증법적 산물로 바라보고자 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치환은 『보병과 더부러』에서 이전의 시에 농후한 원시적 생명력을 반공 이데올로기의 기제로서 합리화하고자 했다면, 『시와 시론』 소재의 텍스트에서는 현대 문명 전반에 관한 비판적인 정신을 가지고 인간 본연의 자세를 회복하기 위한 의욕을 내비치고 있다. 그리고 그는 『시와 시론』 소재의 텍스트에서 개체의 존재 방식과 신의 존재 원리에 관한 인식의 맹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인식은 『예루살렘의 닭』에서 독특한 신관을 바탕으로 우주 자연의 운행 방식을 모색하는 것으로 구체화 된다. 따라서 『시와 시론』은 1950년대 유치환의 동인 활동 공백을 메울 뿐만 아니라 그의 시적 전환을 예고하는 과도기에 놓여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위상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nging aspects of the world of poetry of Yu Chi-hwan in the early 1950s, focusing on the magazine Poetry and Poetics. Although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literary circle activities of Yu Chi-hwan as one of the driving forces that enabled him to undertake active literary activities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from the 1930s to the 1960s, there has been no proper discussion on the literary circle magazine Poetry and Poetics, in which he played a leading role as publisher. In fact, this magazine deserves careful consideration in that it advocates a practical poetic spirit based on a close personal network on the external side, and serves as a kind of bridge for Yu Chi-hwan’s poetic transformation in the early 1950s on the internal side. Taking this into account, this article attempts to view Yu Chi-hwan’s text included in the Poetry and Poetics as a dialectical product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his previous poetry collection, With the Infantry(1951), and his later poetry collection, The Chicken of Jerusalem(1953). More specifically, while Yu Chi-hwan attempted to rationalize the primitive vitality that was abundant in his previous poems in With the Infantry as a mechanism for anti-communist ideology, in the texts of Poetry and Poetics, he displayed a critical spirit toward modern civilization in general and displayed a desire to recover the original human attitude. And in the text of his Poetry and Poetics, he showed the beginnings of an awareness of the way objects exist and the principles of God’s existence, and this awareness was concretized in The Chicken of Jerusalem, in which he sought the way nature operates in the universe based on a unique view of Go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Poetry and Poetics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that it not only filled the gap in Yu Chi-hwan’s literary activities in the 1950s, but also marked a transitional period that heralded his poetic transformation.
목차
1. 서론 : 유치환의 시 세계 형성과 동인 활동
2. 『시와 시론』의 물적·인적 기반과 쟁점 사항
3. 반공 이데올로기 경계와 문명 비판적 시정신
4. 우주 자연의 운행 방식과 독특한 신관의 확립
5. 결론 : 유치환의 동인 활동과 『시와 시론』의 위상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산(志山) 김복한(金福漢)의 항일우국시 연구
- 연결어미 ‘-건대’ 연구 - 증거성의 관점에서
- 중국인 학습자의 발음 교육을 위한 한국어 초성 자음 유형별 음절 음높이 분석
- 1950년대 초기 유치환의 시적 전환과 동인지 『시와 시론』의 위상
- <설인귀전>에 나타난 보조인물의 주도성 연구
- 발견학습을 적용한 문학 지식 교육 방안 - 현대시 교육에서 리듬 지식의 구조화를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구활자본 실기 작품의 장르적 변동과 소설화 경향에 대한 연구
- 한국근대문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탐색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반 설계와 그 한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