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설인귀전>에 나타난 보조인물의 주도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Proactiveness of Supporting Characters in SeolInkwijun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윤보윤(Bo-yoon Yoon)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24輯, 87~12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설인귀전>은 실존인물을 주인공으로 한 중국소설이 인기를 얻어 널리 읽히면서 조선에도 들어와 형성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원작을 그대로 번역하지 않고 그 내용을 축약하고 새로운 화소를 첨가하여 개작을 시도하였으므로 여러 이본이 생겼다. 중국소설과 조선본 <설인귀전>을 비교하면 주인공과 보조인물의 역할과 특성이 우리 상황에 맞도록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영웅인물이 등장하는 고전소설에서는 대체로 비범한 능력의 소유자가 가문과 본인에게 닥친 시련을 극복하고 끝내 승리를 쟁취한다. <설인귀전>도 그러한데, 설인귀가 비참한 상황에 놓이거나 죽을 위기에 빠지는 등 여러 고난을 겪는 것으로 그려진다. 그런데 주인공으로서 어려움을 당했을 때 적극적인 자세로 이를 해결하려는 모습보다는 회피적인 성향을 드러내 영웅인물로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 이때마다 오히려 보조인물이 주도적으로 나서 설인귀를 이끌어 시련을 극복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설인귀전>의 보조인물은 우선 주인공이 시련에 굴복하고 방황하지 않도록 인생의 목표를 명확하게 세울 때까지 그를 이끌어주는 안내자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주인공이 황제를 구출할 능력을 기르도록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뿐만 아니라 여러 보조인물의 활약을 그리면서 주인공 외의 인물이 펼치는 흥미로운 군담을 더하기도 한다.
<설인귀전>은 주도적 면모를 갖춘 보조인물을 다양하게 등장시켜 작품의 내용을 풍성하게 하고 서사를 다변화하였다. 주인공의 이야기만 단선적으로 늘어놓는 것에서 나아가 다른 장수들의 용력 대결이나 궁중의 권력 다툼과 같은 내용을 추가하여 작품의 흥미성을 고양한 것이다. 또한 수동적인 주인공과 진취적인 보조인물의 극명한 대비를 바탕으로 배역의 전형성을 탈피하여 독자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게다가 중국소설을 그대로 번역하지 않고 조선의 현실에 맞게 등장인물의 성격을 바꾼 것에서 당시 고전소설 작가의 창작의식을 발견할 수도 있다. 독자층을 고려하여 주인공과 보조인물의 성격을 기존 작품과 다르게 한 것은 대중 독서물로서의 통속성을 충족하면서도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겠다는 작가의 적극적인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영문 초록
SeolInkwijun is a novel that was widely read in China and later introduced to Joseon. During this process, various adaptations emerged as the content was condensed and new narrative elements were added. A comparison between the original Chinese version and the Joseon adaptation of SeolInkwijun reveals siginigicant differences, particularly in how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tagonist and supporting characters were modified to align with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Joseon.
When faced with adversity, SeolInkwi does not clearly define his life goals or seek ways to achieve them. Instead, he adopts a highly passive and reserved attitude, making him ill-suited as a heroic figure. In such situations, it is the supporting characters who take the initiative, guiding the protagonist and playing a crucial role in overcoming challenges.
The supporting characters in SeolInkwijun take an active role in guiding SeolInkwi, ensuring that he does not succumb to despair and wander aimlessly during times of hardship. They serve as proactive mentors, leading SeolInkwi until he clearly establishes his life goals. Additionally, they provide him with opportunities to gain practical experience, helping to enhance his abilities. Furthermore, by incorporating multidimensional supporting characters, the narrative expands through the addition of war stories and dramatic episodes, enriching the overall content of the work.
By incorporating a diverse range of proactive supporting characters, SeolInkwijun enriches its narrative and introduces variations in storytelling, thereby enhancing the work’s overall appeal. Furthermore, the contrast between the passive protagonist and the enterprising supporting characters captures readers’ interest. Additionally, the adaptation of character traits to suit the target readership reflects the priorities of popular literature at the time, demonstrating the creative consciousness of classical novelists who sought both to satisfy conventional expectations and to craft a distinctive literary work.
목차
1. 서론
2. 설인귀와 보조인물의 상관관계
3. 보조인물의 주도적 역할
4. 주도적 보조인물의 문학적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산(志山) 김복한(金福漢)의 항일우국시 연구
- 연결어미 ‘-건대’ 연구 - 증거성의 관점에서
- 중국인 학습자의 발음 교육을 위한 한국어 초성 자음 유형별 음절 음높이 분석
- 1950년대 초기 유치환의 시적 전환과 동인지 『시와 시론』의 위상
- <설인귀전>에 나타난 보조인물의 주도성 연구
- 발견학습을 적용한 문학 지식 교육 방안 - 현대시 교육에서 리듬 지식의 구조화를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구활자본 실기 작품의 장르적 변동과 소설화 경향에 대한 연구
- 한국근대문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탐색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반 설계와 그 한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