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근대문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탐색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반 설계와 그 한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Methods of Constructing a Database of Korean Modern Authors - Focusing on Relational Database Design and Its Limitation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전세진(Se-jin Jeon) 유건수(Geon-su Yoo) 정성훈(Seong-hoon Ju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24輯, 191~23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근대문인대사전』을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개화기부터 해방 이전 활동을 시작한 395명의 문인을 대상으로 표준화되고 확장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단계적으로 구축하는 과정과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근대 문인 DB 구축을 위한 유관 자료(오프라인 자료 6종과 온라인 자료 6종)를 검토하였고, 이 자료들이 근대문학 및 한국문학 전반에 관한 정보들을 집약적으로 제시해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가 중복되면서 상호 연계 기능이 낮고, 기계 가독성이 부족하여 디지털 환경에서의 효율적 정보 처리와 활용에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관자료의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기준 대상으로 『한국근대문인대사전』을 선정하였다. 『한국근대문인대사전』은 문인들의 생애, 작품활동, 작품목록, 참고자료 등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학술적 가치가 높은 자료이나, 인쇄매체로서의 한계와 정보의 편차, 오류 가능성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국제표준이름식별자(ISNI), 국가전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립중앙도서관의 근대문학종합목록 등 다양한 데이터 자원을 통합하여 총 세 단계로 데이터베이스를 점진적으로 구축하였다. 먼저 기본정보(색인명, 본명, 한자명, 생몰년, 출생지, 성별, ISNI 번호), 문인들의 이칭 관련 정보, 문학장르, 소속 단체 등을 중심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각 버전별로 명확한 원칙과 기준에 따라 데이터의 완성도를 제고하였다. 다만 구축 과정에서 발생한 정보 충돌과 버전별 정보 혼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후 RDF나 온톨로지 기반 지식 표현 체계로의 전환을 통해 정보의 출처와 변경 이력을 명시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한국근대문인 데이터베이스는 명세서와 작성 원칙에 따라 설계됨으로써 학술 자료로서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근대문학 연구의 디지털 전환과 빅데이터 기반 인문학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ss and methodology of building a database of Korean Modern Authors in three stages(DB 1, DB 2, DB 3), based on the Dictiona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uthor covering 395 authors who were active from the time of enlightenment of Korea to before liberation. After reviewing six offline and six online resources related to Korean Modern Authors, I confirmed that existing materials contain redundancy and inconsistency of information, and lack machine readability, limiting their digital utiliz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inted Dictiona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uthor, I integrated various data resources including International Standard Name Identifier(ISNI), National Authority(Kuk-ga Jeon-geo),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Hanguk Minjok Munhwa Daebaekgwa Sajeon), and other sources to develop a relational database(RDB) model. The database was developed according to clear principles for each version, focusing on basic information(index name, real name, Chinese characters, birth and death years, birthplace, gender, ISNI number), alternate names, literary genres, and affiliated organizations. In DB 3, it was completed as a comprehensive Korean Modern Author database encompassing literary context by adding work information. Consequently, the need for transition to RDF or ontology-based knowledge representation systems has emerged. The Korean Modern Author database construc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modern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based humanities research.

목차

1. 서론
2. 한국 근대문인 데이터베이스 설계
3. 데이터베이스 구축 1: 인적 정보 처리를 위한 데이터 모델링
4. 데이터베이스 구축 2: 작품 정보 추가를 통한 문인DB로의 차별화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세진(Se-jin Jeon),유건수(Geon-su Yoo),정성훈(Seong-hoon Jung). (2025).한국근대문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탐색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반 설계와 그 한계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 191-230

MLA

전세진(Se-jin Jeon),유건수(Geon-su Yoo),정성훈(Seong-hoon Jung). "한국근대문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탐색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반 설계와 그 한계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2025): 191-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