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외식 인플루언서의 SNS 콘텐츠 특성이 몰입과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

영문명
The Impact of Social Media Content Attributes of Food Influencers on Flow and Customer Engage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발행기관
한국외식경영학회
저자명
김유림(Yu-Rim Kim) 윤혜현(Hye-Hyun Yoon)
간행물 정보
『외식경영연구』28권 2호, 47~7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외식 SNS 콘텐츠 특성이 몰입과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외식 SNS 콘텐츠 특성과 몰입 간의 관계에서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를 비교하여 세대 간 차이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91부의 데이터를 SPSS 22.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연구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 외식 SNS의 콘텐츠 특성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몰입은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 간의 차이는 외식 SNS 콘텐츠 속성과 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사점 : 본 연구 결과는 SNS 콘텐츠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세대 차이가 확인된 만큼, 기업은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를 대상으로 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고객 참여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dining-related social media content attributes on flow and customer engagement.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tional differences by comparing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Gen Z)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content attributes and flow. Method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291 responses using SPSS 22.0 and AMOS 20.0.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model fit and test the hypotheses. Results: The attributes of dining-related social media cont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flow, which subsequentl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engagement. Moreover, generational differences between Millennials and Gen Z partial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ning-related social media content attributes and flow. Implication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formulating content strategies that align with the specific attributes of social media content. Considering the identified generational differences, businesses should implement targeted marketing strategies tailored to Millennials and Gen Z to optimize eng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조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유림(Yu-Rim Kim),윤혜현(Hye-Hyun Yoon). (2025).외식 인플루언서의 SNS 콘텐츠 특성이 몰입과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28 (2), 47-73

MLA

김유림(Yu-Rim Kim),윤혜현(Hye-Hyun Yoon). "외식 인플루언서의 SNS 콘텐츠 특성이 몰입과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28.2(2025): 47-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