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한국어 교육에서의 CEFR 관련 연구 동향 - 주제 범위 문헌 고찰

이용수  82

영문명
Research trends on the CEF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 A Scoping Review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이윤덕(Yundeok Lee)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1호, 235~26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발표된 CEFR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제 범위 문헌 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총 38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21년 해외 초ㆍ중ㆍ고등학교를 위한 CEFR 기반 한국어 교육과정이 개발ㆍ발표된 시기를 전후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과정을 비교ㆍ분석하는 연구가 많았다. 또한, 해외 한국어 교육을 다룬 연구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연구 대상이 초ㆍ중등 교육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2차적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 목적에 따른 분류 결과에 따르면 CEFR 관련 활용연구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를 통해 CEFR 관련 연구들이 어떠한 흐름으로 연구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아직 많이 사용하지 않고 있는 주제 범위 문헌 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동향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1, 235-26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CEFR- related research publish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To this end, a scoping review methodology was employed, selecting and analyzing a total of 38 studie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how CEFR-related research is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utilizes the scoping review approach —an approach that is not yet widely adopted in this field— to examine these trends. (Ewha Womans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동향 분석
5. 한국어 교육에서 CEFR 관련 연구의 동향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덕(Yundeok Lee). (2025).국내 한국어 교육에서의 CEFR 관련 연구 동향 - 주제 범위 문헌 고찰. 한국언어문화학, 22 (1), 235-261

MLA

이윤덕(Yundeok Lee). "국내 한국어 교육에서의 CEFR 관련 연구 동향 - 주제 범위 문헌 고찰." 한국언어문화학, 22.1(2025): 235-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