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말뭉치 분석을 통한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양상 분석 - 특정성, 개별성 의미의 반영을 중심으로

이용수  22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Usage Patterns of the Genitive Case Marker ‘ui’ through Corpus Analysis : Focusing on Specificity and Individuality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김혜진(Hyeji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1호, 1~3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양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기술적 분석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의’의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특성인 특정성과 개별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와 관련된 ‘의’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말뭉치 자료로는 약 9만 개의 형태소로 구성된 자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N1의 N2’에서 ‘의’의 빈도는 특정성이 표현될 때 높아졌으며, N1이 복수의 개체일 경우에는 개별성을 나타냄으로써 특정성을 표현할 때 높아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반면, N1이 속성으로 표현되거나 복수의 개체일 경우에는 집단적 의미로서 N2의 속성으로 쓰일 때 ‘의’의 결합 빈도가 감소한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경향성에는 예외가 많아 ‘의’의 사용 비율을 함께 제시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의’의 사용 양상을 실제적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의미적, 양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1, 1-3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sults of a corpus-based descriptive analysis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the usage patterns of the genitive case marker ‘ui’(similar to ‘of’ in English, for example). To this end, the study focused on the semantic features of specificity and individuality, which influence the combination of ‘ui’,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meanings and the use or omission of ‘ui’. For this purpose, a corpus consisting of approximately 90,000 morphemes was analyzed. As a result, in ‘N1 ui N2’ constructions, the frequency of ‘ui’ tends to increase when ‘ui’ expresses specificity and when N1, as a plural entity, conveys individuality. Conversely, when N1 is expressed as an attribute or is mentioned collectively, the frequency of ‘ui’ usage tends to decrease. Additionally, although general tendencies were observed, numerous exceptions to these patterns occurred, so the tendencies of ‘ui’ usage were presented through ratios. This study provides both semantic and quantitative insights into the usage patterns of ‘ui’, offering a valuable reference for educational purposes based on authentic linguistic data. (Seoul National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진(Hyejin Kim). (2025).말뭉치 분석을 통한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양상 분석 - 특정성, 개별성 의미의 반영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22 (1), 1-38

MLA

김혜진(Hyejin Kim). "말뭉치 분석을 통한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양상 분석 - 특정성, 개별성 의미의 반영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22.1(2025): 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