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종학당 한국어교원 온라인 재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사례와 개선 방향
이용수 30
- 영문명
- Case Study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King Sejong Institute’s Online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오지혜(Jihye Oh) 김금숙(Gumsu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1호, 107~13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세종학당 교원 재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실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세종학당 교원 재교육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몇 가지 측면에서 재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원들의 다양한 배경 즉, 연수 재교육 연차, 또는 경력을 고려하여 기본-심화-숙련-전문의 네 단계로 나누고, 교원들이 강의를 자율적으로 수강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교원에 대한 세종학당재단의 평가를 반영하여 교원이 개별 역량에 집중하는 특화 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맞춤형 컨설팅 과정에는 한국어, 한국문화 교육뿐만 아니라 세종학당 교육의 전반적인 문제(대인관계,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수업 운영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둘째, 현장 교원 중심의 교과목을 지속적으로 편성하되, 에듀테크 관련 교과목을 단계별로 확대하고, 재단-교원 간, 교원 간 네트워킹 교과목을 강화,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강사 주도형 강의보다는 실습, 토의, 워크숍, 사례 발표 등 교원 주도형 수업 방식을 다양하게 구성해야 한다. 넷째, 매년 실시되는 교원 재교육프로그램에서 교원들 스스로가 수업을 설계하고, 연수 이력을 교원 경력으로 인정하고 포트폴리오 방식의 세종학당 교원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1, 107-1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King Sejong Institute teacher reeducation program and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is program through actual program operation. This study derive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reeducation program. First, considering the various backgrounds of teachers, such as training/retraining years or experience, it should be divided into four levels: basic, advanced, skilled, and specialized, and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take lectures autonomously. Second, there is a need to continue to organize field teacher-centered courses, while expanding educational technology-related courses step by step and strengthening and operating networking courses between the foundation and teachers, as well as among teachers. Third, rather than instructor-led lectures, there should be a variety of teacher-led teaching methods such as practice, discussion, workshops, and case presentations. Fourth, in the teacher retraining program conducted every year, we propose that teachers design their own classes, acknowledge their training history as part of their teaching experience and use it as a portfolio-type evaluation material for King Sejong Institute teachers. (Semyung University, Sangji University)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검토
3. 세종학당 교원 온라인 재교육프로그램 내용
4. 만족도 및 요구 조사 결과 분석
5. 재교육프로그램 개선 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말뭉치 분석을 통한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양상 분석 - 특정성, 개별성 의미의 반영을 중심으로
- 숙달도와 노출 시간에 따른 중국인 대학생 한국어 학습자의 대화 함축 이해
- 한국언어문화학 제22권 제1호 목차
- 한국어 뉴스 헤드라인의 구글 번역기 페르시아어 번역 오류에 관한 연구
- 세종학당 한국어교원 온라인 재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사례와 개선 방향
- 학습자 모국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효과 연구 - 세종학당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경험에 나타난 자율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외국인 대학생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 및 발표 능력과의 상관관계
- 국내 한국어 교육에서의 CEFR 관련 연구 동향 - 주제 범위 문헌 고찰
- 예비 한국어 교사의 테크놀로지 인식 연구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감정 척도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 학습자의 즐거움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용언 활용 발달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