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뉴스 헤드라인의 구글 번역기 페르시아어 번역 오류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Google Translate’s Persian Translations of Korean News Headlines -Identifying the most frequent translation error types and pattern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세터레 누리(Setare Noori)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1호, 69~105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뉴스 헤드라인의 구글 번역기 페르시아어 번역 결과물에 나타나는 오류를 유형별로 정리하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류 유형 및 패턴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근 신경망 기계 번역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기계 번역의 풀질이 과거에 비해 상당히 향상되었으며, 이에 따른 기계 번역 수요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번역 결과물에서 사소한 오류부터 중대한 오류까지 다양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기존 국내 기계 번역 오류 연구는 주로 주요 언어 쌍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뉴스 헤드라인의 구글 번역기의 페르시아어 번역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페르시아어 뉴스 헤드라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인간 번역자 포스트에디팅 수행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1, 69-106.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errors found in Google Translate’s Persian translations of Korean news headlines and identify the most frequent error types and patterns. With the rapid advancements in neural machine translation technology in recent years, the quality of machine translation has improved significantly, leading to increased demand and usage. However, various issues, ranging from minor inaccuracies to critical errors, continue to persist in machine translation outputs. Previous domestic studies on machine translation errors have primarily focused on major language pairs.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types of errors observed in Google Translate’s Persian translations of Korean news headlines.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of post-editing by human translators to better reflect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Persian news headlines. (Seoul National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뉴스 헤드라인의 특징 및 번역 관련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대상 및 분석 방법
4. 뉴스 헤드라인 오류 유형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말뭉치 분석을 통한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양상 분석 - 특정성, 개별성 의미의 반영을 중심으로
- 숙달도와 노출 시간에 따른 중국인 대학생 한국어 학습자의 대화 함축 이해
- 한국언어문화학 제22권 제1호 목차
- 한국어 뉴스 헤드라인의 구글 번역기 페르시아어 번역 오류에 관한 연구
- 세종학당 한국어교원 온라인 재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사례와 개선 방향
- 학습자 모국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효과 연구 - 세종학당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경험에 나타난 자율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외국인 대학생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 및 발표 능력과의 상관관계
- 국내 한국어 교육에서의 CEFR 관련 연구 동향 - 주제 범위 문헌 고찰
- 예비 한국어 교사의 테크놀로지 인식 연구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감정 척도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 학습자의 즐거움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용언 활용 발달 양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