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경험에 나타난 자율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40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into Learner Autonomy: Through the Learning Experience of a Korean Language Learner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소연(Soye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1호, 207~23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홍콩 출신의 한국어 우수 학습자 데이지를 연구 참여자로 섭외하고 내러티브 탐구를 진행하여 학습자의 자율성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데이지는 첫째, 스스로 학습 과정을 결정하고 그 결정에 대해 책임지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완벽주의라는 개인 성향의 특성에 따라 자신의 학습 수준을 평가한 후 학습 목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재설정하였다. 셋째, 자신이 스스로 설정한 학습 목표에 적절한 학습 내용 및 방법을 찾아 적용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 동료 학습자, 한국인 교류인 등 주변인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자극을 받았다. 다섯째,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에 대한 관심이 한국어 학습 동기나 목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 결과, 학습자 자율성은 단순히 독립적으로 학습하는 과정이 아니라 주변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고 강화되는 동적인 과정임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1, 207-234. This study employed narrative inquiry to explore learner autonomy through the experiences of Daisy, a proficient Korean language learner from Hong Kong. The findings revealed that she took full ownership of her learning, regularly assessed her progress, and adjusted her goals and strategies accordingly. She also actively selected learning materials, engaged in meaningful interactions with teachers, pe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and was shaped by her broader social environment. The study concludes that learner autonomy extends beyond independent learning, emerging as a dynamic process fostered through continuous social engagement.(Seoul Nationial University)
목차
1. 연구 퍼즐의 발현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한국어 학습자 데이지의 이야기
5.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말뭉치 분석을 통한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양상 분석 - 특정성, 개별성 의미의 반영을 중심으로
- 숙달도와 노출 시간에 따른 중국인 대학생 한국어 학습자의 대화 함축 이해
- 한국언어문화학 제22권 제1호 목차
- 한국어 뉴스 헤드라인의 구글 번역기 페르시아어 번역 오류에 관한 연구
- 세종학당 한국어교원 온라인 재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사례와 개선 방향
- 학습자 모국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효과 연구 - 세종학당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경험에 나타난 자율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외국인 대학생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 및 발표 능력과의 상관관계
- 국내 한국어 교육에서의 CEFR 관련 연구 동향 - 주제 범위 문헌 고찰
- 예비 한국어 교사의 테크놀로지 인식 연구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감정 척도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 학습자의 즐거움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용언 활용 발달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