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숙달도와 노출 시간에 따른 중국인 대학생 한국어 학습자의 대화 함축 이해
이용수 25
- 영문명
- Understanding Conversational Implicature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Learning Korean Based on Proficiency and Exposur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무자영(Ziying Wu) 테이슈옌(Teh Yishyua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2권 제1호, 39~6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인 대학생 한국어 학습자의 대화 함축 이해 양상을 숙달도와 노출 시간이라는 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총 140명의 중국인 대학생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16개의 대화 함축 이해 문항을 실시한 결과, 숙달도의 주효과와 노출 시간의 주효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숙달도가 노출 시간보다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후 인터뷰를 통해 학습자들은 은유, 공손성 표현, 중의적 표현, 유머 이해 등 대화 함축 유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화 함축 교육에서 체계적인 숙달도 향상과 함께 문화적 맥락 이해를 포함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1, 39-68. This study analyzed the understanding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learning Korean based on their proficiency level and exposure time. A test consisting of 16 items assessing comprehension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was administered to 140 Chinese college students learning Korean.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s for both proficiency level and exposure time. Among these variables, proficiency level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mpact than exposure time. Through follow-up interviews, it was identified that learners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various types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including figurative expression, politeness strategies, ambiguous expressions, and humor comprehen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ing conversational implicature requires an integrated approach that combines systematic proficiency enhancement with an understanding of cultural context. (Ewha Womans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대화 함축 및 선행 연구 고찰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및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말뭉치 분석을 통한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양상 분석 - 특정성, 개별성 의미의 반영을 중심으로
- 숙달도와 노출 시간에 따른 중국인 대학생 한국어 학습자의 대화 함축 이해
- 한국언어문화학 제22권 제1호 목차
- 한국어 뉴스 헤드라인의 구글 번역기 페르시아어 번역 오류에 관한 연구
- 세종학당 한국어교원 온라인 재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사례와 개선 방향
- 학습자 모국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효과 연구 - 세종학당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경험에 나타난 자율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외국인 대학생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 및 발표 능력과의 상관관계
- 국내 한국어 교육에서의 CEFR 관련 연구 동향 - 주제 범위 문헌 고찰
- 예비 한국어 교사의 테크놀로지 인식 연구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감정 척도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 학습자의 즐거움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용언 활용 발달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