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통합교육 연구동향
이용수 3
- 영문명
- An analysis of Trends in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수희(Soohee Kim) 이대식(Daesik Lee)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6권 제4호, 151~1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통합교육 연구동향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1998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국내 22개 주요 학술지에 발표된 통합교육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과 통합교육 연구동향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기간별 국내 통합교 육 연구동향을 역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관련 연구의 양 측면에서는 2014년을 정점으로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출현 빈도 측면에서는 ‘통합 교육’, ‘교사’, ‘장애’, ‘장애학생’, ‘특수교육’, ‘통합’, ‘인식’, ‘지원’ 등이 상위 순위에 열거되었다.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과의 관련성 측면에서는 4, 5, 6차 등 최근으로 올수록 교사의 경험, 지원, 인식, 자료, 프로그램 등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통합교육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변인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수행되어 오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결론: 통합교육 정책이 강조된 기간에 통합교육 관련 연구의 수가 함께 증가하였고, 교사의 인식과 지원이 통합 교육 연구의 주요 요인이며, 최근으로 올수록 교사들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구체적인 지원이 나 자료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article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published in 22 major Korean journals from 1998 to the first half of 2023. In addition,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Five-Yea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trend of inclusive education research, a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also conducted on the trend of inclusiv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during the Five-Yea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 terms of research amount, research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showed a gradual decline, peaking in 2014. In terms of frequency of occurrenc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disabil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integration’, ‘awareness’, and ‘support’ were listed in the top rankings. In terms of relevance to the Five-Yea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it was interpreted that relatively more research was conducted in recent years, such as the fourth, fifth, and sixth terms, with the research focusing on the variables necessary for the actual realization of inclusive education at the school site, such as ‘teachers’ experiences’, ‘support’, ‘awareness’, ‘materials’, and ‘programs’. Conclusion: During the period when inclusive education policy was emphasized, the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increased, and teachers’ awareness and support were the main factors in inclusive education research. In recent years, it appears that teachers have been requesting specific support or materials needed in the cla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