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분석
이용수 19
- 영문명
- An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regarding the Educational Use of AI Digital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주혜(Joohye Kim)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6권 제4호, 45~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는 AI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탐색 하여 AI 디지털교과서가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항목은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인식, 활용 효과, 고려 요소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의미변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를 사용하여 AI 디지털교과서와 기존 교수 학습 방식 간의 인식 차이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는 AI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육이 기존의 전통 적인 교육 방식과 비교하여 긍정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특수교사는 AI 디지털교과서 가 체계적으로 사전 진단이 가능하여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는 수업 보조 도구로서 효과적일 것으 로 생각하고 있었다. AI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첫째, 수업 집중 저하 혹은 주의 분산을 예방하고, 둘째, 질적으로 우수한 AI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설계와 개발이 필요하고, 셋째, 교사의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수교 육 현장에서 AI 디지털교과서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지원 체계 강화와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use of AI digital textbooks in special education. In doing so,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AI digital textbooks on special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challenges and needs experienced by teachers. Metho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08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and classes across the country. The survey consisted of four sections, including perceptions of AI digital textbooks, their effectiveness, and barriers to their use. A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perceived differences between AI digital textbooks an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Resul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a difference between AI digital textbooks an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in 18 out of 21 items measured by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hile many teachers expected AI digital textbooks to positively contribute to personalized instruction and student engagement, they also expressed concerns about unfamiliarity with the technology and potential technical issues. Conclusion: To effectively use AI digital textbooks in special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technical support systems and provide systematic training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