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읽기 학습부진 학생의 추론적 읽기에서 나타난 오류 유형과 추론 특성 분석
이용수 6
- 영문명
- Analysis of Error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ferential Reading Ability in At-Risk Read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동일(Dong-il Kim) 전유라(Yoo-ra Jeon) 김희은(Hee-eun Kim)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6권 제4호, 25~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학습 부진 학생들의 추론적 읽기이해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 나는 오류 유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이들의 추론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읽기 학습부진 학생의 추론적 어려움에 대한 요인을 확인하고, 추론 오류 유형에 따른 체계적인 학습 지원의 기초자료 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읽기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4, 5학년 학생 15명의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읽기이해 검사의 사전-사후 교사 관찰지와 사전-사후 문제 풀이 관련 학생 면담을 빈도 분석 및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읽기 학습부진 학생들의 추론 오류 반응 이 16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이 오류 반응들은 유사한 특성을 기준으로 6가지 주요 유형으로 통합 될 수 있었다. 또한 읽기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들은 ‘긴 글 읽기의 어려움’, ‘문제해결 전략 부재 및 배경지식에 의존한 문제해결’, ‘낮은 어휘력’, ‘사실적 이해단계 수준에 머물러 있는 읽기 이해 능력’의 추론적 특징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읽기 학습부 진 학생들을 위한 읽기 중재 프로그램의 시사점과 논의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the types of errors observed during the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problem-solving process among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The aim was to identify the underlying factors contributing to their challenges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systematic instructional support tailored to different types of inferential errors. Method: Fifteen fourth- and fifth-grade students participating in an individualized reading intervention program were assessed using pre- and post-teacher observation records and problem-solving interviews related to the BASA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counts and qualitative methods. Results: The analysis identified 16 distinct response of inferential errors, which were consolidated into six primary categories based on shared characteristics. Key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exhibited specific challenges, including difficulty managing long texts, lack of problem-solving strategies coupled with over-reliance on background knowledge, limited vocabulary, and reading comprehension restricted to the factual level. Conclu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critical areas for intervention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reading programs tailored to address the inferential reasoning challenges of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