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행정규정에 나타난 개별화교육프로그램 분석
이용수 3
- 영문명
- An analysi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under the U.S. Administrative Regulation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황원(Hwang-Won Lee)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6권 제4호, 69~9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의 권리보호를 위하여 미국의 주정부의 행정규정에 나타 난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에서 법제도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미국의 장애인교육법상의 개별 화교육프로그램 규정과 4개 주의 행정규정에 나타난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나이스(NEIS)의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성요소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미국 장애 인교육법에서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일부 구성요소가 한국의 특수교육법보다는 더 구체화되 어 있음이 확인된다. 미국 주별 IEP 구성요소는 공통적 요인과 차별적 요인으로 나누어지며 세분 화 정도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주별 IEP 구성항목에서 양적 범위 확대와 질적 고도화의 정도가 큰 것이 세분화 정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된다. 결론: 한국에서 특수교육법 령에 IEP 양식의 법제화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에서 표준화된 IEP 양식의 법제화를 위해서는 미국 주별 IEP 구성요소 중에서 세분화 정도가 높은 것을 참고하여 활용한다면 큰 도움 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egal system in Korea by analyz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IEP) under U.S. administrative regulations. Method: To this end, the components of IEP in the provision of IEP under the IDEA and administrative regulations of four U. S. states were analyzed.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components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of NEIS in Korea. Results: In the IDEA, it is found that the some components of IEP are more specific than those of Special Education Act in Korea. The IEP components of each U.S. states are divided into common and different factors,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pecification. In the states’s IEP components, it is recognized that the larger degree of quantitative scope expansion and qualitative advancement is higher in specification. Conclusion: In Korea, it is urgent to legislate the IEP form in special education act and regulation. In order to legislate the standardized IEP form in Korea,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of great help to refer to and utilize the most specific IEP components of each U.S. stat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