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 부진 및 학습장애아의 사회성 관련 중재 연구 동향 및 효과분석

이용수  6

영문명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Effect Sizes of Intervention Studies of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정해숙(Hae-sook Jung) 김은하(Eun-ha Kim)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6권 제4호, 123~14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3년까지 학습 부진 및 학습장애아의 사회성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중재 연구에 적용된 사회성을 포함한 관련 측정 변인(자기효능감, 자아존 중감)별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총 33편의 연구논문을 선정하여 연구 동향 분포를 살펴보았고 이중 효과 크기 분석을 위해 25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분석 틀에 따라 전반적인 연구 동향과 측정 변인별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성과 관련된 연구들은 지속적으로 학술지 논문을 통해 발표되고 있었고 학습장애보다 학습 부진에 관한 연구가 더 많이 진행되고 있었으며 다수의 연구 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측정 변인별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 분석을 위해 선정된 25편의 연구에서 효과 크기를 추출한 결과 측정 변인별 중재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크기는 1.319로 큰 효과 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정 변인별로 효과 크기를 살펴본 결과 사회성,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모두 0.8 이상의 큰 효과 크기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향후 연구 과제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본 연구의 결론과 논의를 바탕으로 한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search trends from 2014 to 2023 related to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and to analyze the effect sizes of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relevant variables, including social skill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Method: A total of 33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trends, with 25 out of the 33 papers chosen to examine effect size. The 25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to assess overall research trends and the effect sizes of intervention programs targeting specific variables. Results: Studies related to social skills have been consistently published throughout the years with more research conducted on learning difficulties Than on learning disabilities, and most studies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ffect size analysis of the 25 selected studies showed a large overall effect size of 1.319. Furthermore, the effect sizes for social skill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ll exceeded 0.8, indicating significant and large effect sizes.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study concludes with discussions on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ies based on the finding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해숙(Hae-sook Jung),김은하(Eun-ha Kim). (2024).학습 부진 및 학습장애아의 사회성 관련 중재 연구 동향 및 효과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6 (4), 123-149

MLA

정해숙(Hae-sook Jung),김은하(Eun-ha Kim). "학습 부진 및 학습장애아의 사회성 관련 중재 연구 동향 및 효과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6.4(2024): 123-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