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 아동에 대한 한국 초등학교 비장애 학생의 태도

이용수  6

영문명
Attitude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a Child Who Us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장보라(Bo-Ra Jang) 한경임(Kyung-Im Han) Soto, Gloria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6권 제4호, 97~12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AAC를 사용하는 한 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비장애 학생들의 태도를 조사 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한국의 한 도시에 있는 2개의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 는 3학년과 6학년 학생 379명이었다. AAC를 사용하는 아동이 자신의 어머니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에 대한 3개의 다른 동영상이 사용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 동영상을 보는 3개의 집단으 로 무작위 배치되었다. 한 집단은 비도구 AAC를 사용하여 상호작용하는 모습의 동영상을 보았 고, 다른 한 집단은 의사소통판을 사용하여 어머니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의 동영상을 보았고, 나머지 한 집단은 음성산출 의사소통기기(SGD)를 사용하여 어머니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의 동영 상을 보았다. 결과 분석은 2(연령)×2(성별)×3(AAC 유형) ANCOVA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AAC를 사용하는 아동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는 일반적으로 보통 정도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긍정적이었으며, 연령이 어릴수록 더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비도구 AAC를 사용하는 모습보다는 의사소통판이나 SGD를 사용하는 모습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다. 결론: 정서/행동적 측면의 태도, 인지적 측면의 태도, 그리고 AAC를 사용하는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3가지 태도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AAC를 사용하는 초등학 생의 통합교육을 위해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ward a child who relies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Method: Participants included 379 third through sixth grade students from two regular elementary schools in a city in South Korea. Three different experimental videos were recorded of a child using AAC while interacting with her mother.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ne group watched the child using unaided AAC, another group watched the child using a communication board, and the last group watched the child using a speech generating device (SGD). A 2 (age)×2 (gender)×3 (AAC type) ANCOVA was calculated. Results: Findings indicated that the attitude of the participants was generally neutral: girls expresse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boys, younger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older ones, and attitudes were more positive when the child used a communication board or an SGD than unaided AAC. Conclus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three factors; affective/ behavioral attitudes, cognitive attitudes, and the attitudes about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he child using AAC.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보라(Bo-Ra Jang),한경임(Kyung-Im Han),Soto, Gloria. (2024).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 아동에 대한 한국 초등학교 비장애 학생의 태도. 특수아동교육연구, 26 (4), 97-122

MLA

장보라(Bo-Ra Jang),한경임(Kyung-Im Han),Soto, Gloria.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 아동에 대한 한국 초등학교 비장애 학생의 태도." 특수아동교육연구, 26.4(2024): 97-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