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ar and Censorship: Focused on the Russian Fake News Laws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김용환(Yonghwan Ki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1권 제4호, 59~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전격적으로 우크라이나를 침공함으로써 전쟁이 시작되었다. 검열은 특히 전쟁이나 국가 간 갈등 상황 속에서 더욱 강화되기 마련이다. 전쟁의 과정에서 시행되고 있는 러시아 정부의 검열은 국가 안보와 정보 통제의 맥락에서 이루어진다. 공식적인 정부 발표나 입장과다른 정보는 그 유통이 엄격히 통제되고 있다. 전쟁 초기부터 독립 언론과 기자들에 대한 압박이 증대되었다. 다수의 독립 언론 매체가 폐쇄되거나 운영이 중단되었고, 외국 매체의 활동도 제한되었다. 러시아 정부는 페이스북, 트위터 등 주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거나 차단하였다. 이러한 검열정책을 시행하는 데 있어 주요한 법적 근거가 된 일련의 법률들을 “가짜뉴스법”이라고 한다. 이 글에서는 “가짜뉴스법”을 구성하는 법률들과 그 시행에 따른 검열 사례들을 고찰함으로써 전쟁의 개시와 함께 전개된 러시아의 검열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war began on February 24, 2022, with Russia's invasion of Ukraine. Censorship tends to intensify, especially during wartime or in situations of international conflict. The censorship implemented by the Russian government during the war is carried out in the context of national security and information control.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that deviates from official government announcements or positions is strictly regulated. From the early stages of the war, there was increased pressure on independent media and journalists. Numerous independent media outlets were shut down or had their operations suspended, and the activities of foreign media were also restricted. The Russian government restricted or blocked access to major social media platform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The legal basis for implementing these censorship policies consists of a series of laws referred to as the “fake news laws.”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laws that constitute these “fake news laws” and explore instances of censorship following their enforcem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Russian censorship that unfolded with the onset of the war.
목차
Ⅰ. 서론
Ⅱ. 가짜뉴스법의 제정
Ⅲ. 가짜뉴스법의 시행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럽연합의 이주정책 변화 - 니제르를 중심으로
- 영유아 신체활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러시아·중앙아시아 대학의 한국 경제 강좌 연구
- 중국 차문화산업에 따른 이슈에 관한 연구: 차문화산업의 대중화를 위한 제언
-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인권정책의 규범적 이상과 특성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 선거제도를 통한 다수제와 합의제의 비교분석: 대표성과 안정성의 균형
- 다문화사회에서 커뮤니티 미디어의 사회통합적 기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패션에 표현된 트랜스폼 디자인의 특성 연구
- ESG가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 연구: PCA와 ARDL 모형을 활용하여
- 경찰 내 젠더 대표성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해석 - 여경 비율과 여성차별철폐협약의 적용을 중심으로
- 중국 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재이용의도 연구: 가치기반수용모델과 건강신념모델을 중심으로
- 십이지문화를 상징하는 기호자의 의미 재 분석(1): 십이지의 첫 번째 한자 ‘子’의 의미 분화를 중심으로
- 다랑쉬굴 4·3무용의 에크리튀르 형성과 안무가의 책임
- 유니폼의 이미지 적합성이 전공선택동기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항공 전공자를 대상으로
- 베트남 재외동포의 생활실태와 거주국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 베트남 남부지역에 거주하는 재외동포를 중심으로
- 전쟁과 검열: 러시아 “가짜뉴스법”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