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이용수  0

영문명
Research Synthesis of Diagnostic and Screening Tool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or at Risk
발행기관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태영(Taeyoung Kim)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68권 제3호, 5~2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에서 2024년까지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는 총 44편이었으며, 연도별 학술지, 연구 참여자, 연구 방법, 연구주제, 저자 동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연도별 학술지 동향을 분석한 결과, 「유아특수교육연구」(21편, 47.7%)에 관련 주제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되었으며, 2015년에 10편(22.7%)의 논문으로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한 논문이 15편(34.1%)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에 대한 동향 분석 결과에서는 선별이나 진단 도구에 대한 검증 연구가 20편(45.5%)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주제에 대한 동향 분석 결과 크게 선별검사와 진단 검사로 구분되었는데, 선별검사에 대한 논문이 25편(56.8%)으로 진단검사(19편, 43.2%)에 대한 논문보다 더 많았다. 선별검사에 대한 논문은 ‘발달’에 대한 주제(31.8%)가 가장 많았고, 진단 검사에 대한 논문은 ‘특정한 장애’(15.9%)에 대한 주제가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저자 동향을 분석한 결과, 분석 대상 논문에 가장 많이 참여한 저자는 허계형(8편, 18.2%)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는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 대상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좀 더 다양한 주제와 발달영역별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current research studies of screening/diagnosi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or at risk. A total of 44 studies were analyzed by yearly academic journals, participants and research methodology, themes, and authors. First, the finding of trends of academic journals presented that most of the research studies(21 studies, 47.7%) published on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15 studies(34.1%) were published in 2015. Second, the finding of participants presented that studies targeting young children(15 studies, 34.1%) were the most founded. The finding of research methodology presented that studies on verification of screening or diagnosis test were the most(20 studies, 45.5%) founded. Third, the finding of research theme presented that theme were largely divided into screening test and diagnosis test and studies(25 studies, 56.8%) related to screening test were larger than studies(19 studies, 43.2%) related on diagnosis test founded. ‘Development(31.8%)’ were the most founded in studies related to screening test, while ‘Specific type of disability(15.9%)’ were the most founded in studies related to diagnosis test. Finally, the finding of author trends presented that Heo, Kyeheong(8 studies, 18.2%) published the studies the mos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synthesis, research on screening/diagnosi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or at risk needs to be more actively implemented with diverse research theme and different area of development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영(Taeyoung Kim). (2025).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인문사회과학연구, 68 (3), 5-24

MLA

김태영(Taeyoung Kim).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인문사회과학연구, 68.3(2025): 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