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 Design Expressed in Fashion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안광숙(Kwangsook An)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1권 제4호, 235~25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사회는 기술개발이 가속화되고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자원낭비를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혁신적인 디자인 접근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트랜스폼의 개념을 살펴보고 패션에 표현된 트랜스폼 디자인의 형태적인 유형과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용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패션디자인의 창의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미래 패션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데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문헌자료, 패션컬렉션과 인터넷 사진자료를 활용하여 패션에서 트랜스폼 디자인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패션의 트랜스폼디자인 유형은 아이템 변화와 실루엣 변화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아이템 변화는하나의 의복이 다양한 아이템으로 변형되며 실용성과 가변성, 지속가능성의 특성을 보였다. 실루엣 변화는 의복의 길이, 부피, 특정 부분의 새로운 형태 변화로 디자인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다기능적이고 유연한 스타일의 변형 옵션을 제공한다.
패션에서 트랜스폼 디자인의 유형에 따른 특성은 다목적성, 가변성, 지속가능성으로 표현되었다. 먼저 다목적성은 여러 가지 기능적, 조형적, 장식적인 면에서 새로움, 통합, 변화 등을 적용하여 새롭고창의적인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한다. 가변성은 의복의 형태가 여러 가지 유형과 특성으로 나타나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형하여 패션의 다목적, 기능성을 추구한다. 지속가능성은 환경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의복의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창의적인 트랜스폼 디자인으로 미래 패션의 지속가능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신기술과 디자인의 융합이 패션디자인에 가져올 변형 가능성을 확인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실용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미래 패션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패션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혁신적으로 높이기 위해 재활용소재의 사용, 트랜스폼디자인 상품의 제작 기술, 글로벌 시장에서의 트랜스폼 디자인의 수용성 등 연구범위를 넓혀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에서 트랜스폼 디자인에 대한 심층적인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modern society, as technology development accelerates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spreads, innovative design approaches that minimize resource waste and prioritize sustainability are required.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transform design, analyzing its morphological types and characteristics as expressed in fashion.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suggest creative directions for practical and eco-friendly fashion design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future fashion development. The research analys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ransform designs in fashion using literature, fashion collections and online image data.
The study categorizes transform designs in fashion into two types: item transformation and silhouette transformation. Item transformation involves one garment being converted into various items, showcasing practicality, adaptability, and sustainability. Silhouette transformation includes changes in garment length, volume, or specific parts, reflecting design diversity and creativity, while offering multifunctional and flexible style options to user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transforma design in fashion were described as multipurpose functionality, Variability, and sustainability. Firstly, Multipurpose functionality integrates novelty, versatility, and change across functional, aesthetic, and decorative dimensions, offering innovative and creative design directions. Variability is the pursuit of versatility and functionality in fashion by transforming the form of clothing into various types and characteristics and transforming it into various designs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Sustain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and proposes the sustainability of future fashion through creative transformational design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nd increase the use period of clothing.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the conv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design in fashion design and presented practical and creative designs that reflect the needs of the tim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fashion research. In order to innovatively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the fashion industry, further research should expand the scope of the study to include the use of recycled materials,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transformative design products, and the acceptability of transform design in the global market, and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ransform design from creative and practical aspects.
목차
Ⅰ. 서론
Ⅱ. 트랜스폼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
Ⅲ. 패션에서 트랜스폼 디자인의 개념과 유형
Ⅳ. 패션에 표현된 트랜스폼 디자인의 특성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럽연합의 이주정책 변화 - 니제르를 중심으로
- 영유아 신체활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러시아·중앙아시아 대학의 한국 경제 강좌 연구
- 중국 차문화산업에 따른 이슈에 관한 연구: 차문화산업의 대중화를 위한 제언
-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인권정책의 규범적 이상과 특성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 선거제도를 통한 다수제와 합의제의 비교분석: 대표성과 안정성의 균형
- 다문화사회에서 커뮤니티 미디어의 사회통합적 기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패션에 표현된 트랜스폼 디자인의 특성 연구
- ESG가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 연구: PCA와 ARDL 모형을 활용하여
- 경찰 내 젠더 대표성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해석 - 여경 비율과 여성차별철폐협약의 적용을 중심으로
- 중국 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재이용의도 연구: 가치기반수용모델과 건강신념모델을 중심으로
- 십이지문화를 상징하는 기호자의 의미 재 분석(1): 십이지의 첫 번째 한자 ‘子’의 의미 분화를 중심으로
- 다랑쉬굴 4·3무용의 에크리튀르 형성과 안무가의 책임
- 유니폼의 이미지 적합성이 전공선택동기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항공 전공자를 대상으로
- 베트남 재외동포의 생활실태와 거주국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 베트남 남부지역에 거주하는 재외동포를 중심으로
- 전쟁과 검열: 러시아 “가짜뉴스법”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