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Majority System and Consensus System through Electoral System: Balance of Representation and Stability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최장현(Janghyun Choi)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1권 제4호, 121~1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상대다수 일위대표제는 승자독식, 패자전몰의 제로섬적인 게임룰이다. 이러한 다수제 선거제도는 필연적으로 사생결단식의 경쟁과 대립을 불러온다.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상대다수대표제 국가로 정치·사회·경제적인 양극화와 그로 인한 분열과 갈등이 극에 달하고 있다. 2021년 영국 킹스 컬리지발표에 의하면 세계에서 갈등지수 1위국가로 우리나라를 꼽고 있다.
갈등을 완화하고 정치적 다양성을 존중 할 수 있는 새로운 선거제도를 비롯한 전반적인 정치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다수제 모델과 합의제 모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정책적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수제는 상대다수대표제, 양당제, 단독내각에 의한 권력집중 등으로 일면 명확한 정책 방향과 빠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지만, 대표성의 측면에서는 심각한 한계를 드러낸다. 반면, 합의제는 비례대표제를 근간으로 다당제, 연립정부, 사회적 합의와 권력분유를 원칙으로 하여 다양한 집단의 의견을 반영하는 데 강점이 있으나, 한편으로는 정책 결정의 효율성 측면에서 도전을 받을수 있다. 영국과 네덜란드의 사례를 통해 다수제와 합의제의 장단점을 파악해보고 우리의 상황에 부합하는 선거제도의 혁신을 비롯한 정치시스템을 제안해 본다. 특히 국민투표를 통해 다수제에서 독일식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통한 합의제 모델로 전환한 뉴질랜드 사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문 초록
The majority of first-place representation is the zero-sum game rule of winner-take-all and loser-war. This majority-election system inevitably leads to competition and confrontation in a dead-end manner. Korea is a representative country with a representative majority-representative system, and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polarization, and the resulting division and conflict are at their peak. According to a 2021 announcement by King's College in the UK, Korea is ranked as the number one country in the world in the conflict index.
It is an urgent task to seek a change in the overall political paradigm, including a new electoral system that can alleviate conflict and respect political diversi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ajority system and the consensus system model, policy alternatives are suggested. The majority system enables clear policy directions and quick decision-making through the relative majority representation system, the two-party system, and the concentration of power by a single cabinet, but it reveals serious limitations in terms of represent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nsensus system has a strength in reflecting the opinions of various groups based on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such as a multi-party system, a coalition government, social consensus, and power sharing, but on the one hand, it can be challenged in terms of the efficiency of policy decisions. The researcher will underst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majority system and the consensus system through the cases of the UK and the Netherlands, and propose a political system including innovation in the electoral system that fits our situation. In particular, the case of New Zealand, which switched from the majority system through a referendum to the consensus system model through a German-style link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has great implications for u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사례연구
Ⅳ. 다수제와 합의제의 비교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럽연합의 이주정책 변화 - 니제르를 중심으로
- 영유아 신체활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러시아·중앙아시아 대학의 한국 경제 강좌 연구
- 중국 차문화산업에 따른 이슈에 관한 연구: 차문화산업의 대중화를 위한 제언
-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인권정책의 규범적 이상과 특성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 선거제도를 통한 다수제와 합의제의 비교분석: 대표성과 안정성의 균형
- 다문화사회에서 커뮤니티 미디어의 사회통합적 기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패션에 표현된 트랜스폼 디자인의 특성 연구
- ESG가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 연구: PCA와 ARDL 모형을 활용하여
- 경찰 내 젠더 대표성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해석 - 여경 비율과 여성차별철폐협약의 적용을 중심으로
- 중국 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재이용의도 연구: 가치기반수용모델과 건강신념모델을 중심으로
- 십이지문화를 상징하는 기호자의 의미 재 분석(1): 십이지의 첫 번째 한자 ‘子’의 의미 분화를 중심으로
- 다랑쉬굴 4·3무용의 에크리튀르 형성과 안무가의 책임
- 유니폼의 이미지 적합성이 전공선택동기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항공 전공자를 대상으로
- 베트남 재외동포의 생활실태와 거주국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 베트남 남부지역에 거주하는 재외동포를 중심으로
- 전쟁과 검열: 러시아 “가짜뉴스법”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