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tegrative Review on Self-Care in Later Life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도경(do-kyung Kim)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8권 제3호, 53~8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자기돌봄(self-care)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복지 및 심리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와 실천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노년기를 중심으로 한 자기돌봄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자기돌봄은 개인의 단순한 건강관리 차원을 넘어 개인의 내적차원과 외적 차원의 다차원적 요인이 상호작용하는 복합적 맥락안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고령화사회를 준비하며 노년기의 자기돌봄 개념을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통합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Riss, Web of Science, Scopus, EBSCO)를 활용해 “노년”, “노인”, “자기돌봄”, “자기관리”, “자기치유”, “Elderly”, “Self-Care”, “Self-Management” 등 관련 키워드로 2010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문헌을 검색하고 중복 및 관련성이 낮은 자료를 제외하고 총 97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이론적 틀은 개인의 내적 차원과 외적차원을 포괄할 수 있도록 김설화(2023)의 자기돌봄 구성 개념을 바탕으로, 슈타이너의 삼원론과 브롬펜브레너의 생태체계 이론을 통합하여 노년기 자기돌봄을 통합적으로 조망하였다. 연구결과 노년기 자기돌봄 연구는 2015년과 2019년 노인 정책과 맞물려 연구가 증가하였으며,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문헌연구와 질적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만성질병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노년기 다차원적 자기돌봄은 인지, 정서, 의지, 관계, 종교·문화, 기술·환경의 여섯 자기 영역으로 구조화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자기돌봄이 개인의 단일한 건강 행위일 뿐만 아니라, 거시적 맥락과 상호작용하여 이루어지는 다차원적 과정임을 시사한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돌봄의 복합적 개입 모델을 통한 통합적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본연구는 노년기 자기돌봄 개입 프로그램 설계에 있어 문화적 맥락과 다차원적 조건을 반영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Despite growing interest in self-care across welfare and psychology, research focusing on older adults remains limit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self-care in later life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especially within Korea’s transition into a super-aged society. Using an integrative review, 97 qualitative studies from 2010 to 2024 were selected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s (RISS, Web of Science, Scopus, EBSCO). Key terms included “elderly,” “self-care,” “self-management,” and “self-healing.”
The analysis was based on a framework combining Kim Seol-Hwa’s components of self-care with Steiner’s threefold model of the human being and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Findings reveal six core domains of self-care in old age: cognitive, emotional, volitional, relational, cultural/religious, and technological/environmental. Each domain involves factors such as self-awareness, emotional regulation, daily routines, social support, spiritual meaning, and access to community and digital resources.
These results show that self-care in later life is not merely an individual health behavior, but a holistic, integrative practice shaped by personal, cultural, and structural context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developing multidimensional self-care programs that support autonomy, well-being, and meaningful aging experiences. It also offer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culturally sensitive and ecologically grounded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십우도에 나타난 융의 자기실현과 이동식의 핵심감정 비교
- Interpersonal Trauma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eachers: The Role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 노인의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전환기 중국 직업교사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전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가임력을 보존하는 타임캡슐에서 희망고문까지 - 사회적 난자 냉동의 개념적 은유와 재생산 담론의 구성
- Z세대 청년의 커리어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러시아어 동사 делать의 의미-통사적 특성: 사역성을 중심으로
- 알코올 중독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장기 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규제혁신의 정치경제: 문재인 정부 시기 규제샌드박스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