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he learning life history of immigrants: Focusing on formal learning experiences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옥현(Ok-hyun Park) 김영순(Young-soon Kim)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8권 제3호, 25~5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총체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주민 학습 생애사에 관한 총 11건의 선행연구를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고, 연구참여자, 연구방법, 참여자의 내러티브를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질적메타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는 다양한 이주배경을 지닌 이주자 총 34명으로 집계되었다. 자료 수집과 분석은 주로 슛제의 이야기식 인터뷰와 4차원의 분석 방법을 활용한 것으로 종합되었다. 연구참여자의 내러티브는 국내 ‘형식 학습’을 중심으로 해체와 재배열하였는데, ‘국내 학습 이전’, ‘국내 학습 경험’, ‘국내 학습 경험의 의미’로 분류하였다. 국내 학습 이전은 ‘자국에서의 삶’과 ‘이주 동기’가 도출되었고, 국내 학습 경험은 ‘학습 동기’,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국내 학습 과정’, ‘국내 학습 과정의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국내 학습 경험의 의미는 ‘학습 경험에 따른 개인의 변화와 성장’, ‘가족의 인정과 존중에 따른 관계 개선’, ‘한국을 넘어 자국의 성장을 돕는 꿈 잉태’가 도출되었다. 선정된 연구물을 총체적으로 분석하며 새롭게 발견된 내용을 기반으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ritically review and comprehensively organize relevant previous studie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life history of immigrants. To this end, a total of 11 previous studies on immigrant learning life histori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and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extracted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analysis utilized qualitative meta-analysis techniqu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 total of 34 migrants with diverse migration backgrounds participated in the studie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primarily conducted using narrative interviews and a four-dimensional analysis method. The research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deconstructed and rearranged around domestic ‘formal learning’ and categorized into ‘before domestic learning’, ‘domestic learning experience’, and ‘meaning of domestic learning experience’. ‘Life in the home country’ and ‘motivation for immigration’ were derived from domestic learning before, and ‘motivation for learning’, ‘domestic learning process experienced by research participants’, and ‘difficulties in domestic learning process’ were derived from domestic learning experience. ‘Personal change and growth according to learning experience’, ‘relationship improvement according to family recognition and respect’, and ‘dream conception to help the growth of one’s country beyond Korea’ were derived from the meaning of domestic learning experience. The selected research was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follow-up research was proposed based on newly discovered cont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십우도에 나타난 융의 자기실현과 이동식의 핵심감정 비교
- Interpersonal Trauma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eachers: The Role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 노인의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전환기 중국 직업교사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전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가임력을 보존하는 타임캡슐에서 희망고문까지 - 사회적 난자 냉동의 개념적 은유와 재생산 담론의 구성
- Z세대 청년의 커리어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러시아어 동사 делать의 의미-통사적 특성: 사역성을 중심으로
- 알코올 중독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장기 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규제혁신의 정치경제: 문재인 정부 시기 규제샌드박스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