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ternational STI Cooperation Governance for Green Growth and Global Challenges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최영식(Young-Sik Choi) 오영달(Young-Dahl Oh)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7권 제4호, 437~46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AEA의 기원 및 그 역사적 발전과정을 보면 IAEA가 매우 정치적인 기구로서 여타 국제기구들과 달리 여전히 몇몇 회원국들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핵무기의 확산위협을 방지하기 위해 설립된 IAEA는 자체적으로 중요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한 결과 이제는 명실 공히 하나의 ‘국제개발기구’로 거듭나고 있다. 그럼에도 작금의 글로벌 도전을 감안할 때 국제사회는 IAEA의 국제협력에 대한 중요한 잠재력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1960년대부터 1980년대 동안에 형성된 핵감시 기구로서의 IAEA의 부정적 이미지는 아직도 IAEA가 여타 국제개발기구들과의 다양한 협력을 어렵게 하고 있다. 몇몇 유엔 기관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원자력 및 동위원소 기술의 보급을 증진함으로써 IAEA는 보건, 영양, 그리고 농업 분야에서 커다란 발전을 이루었지만 아직도 더 많은 개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또한 사실이다. IAEA의 원래 조직체계는 제한된 예산과 현장사무소의 부재 등 그 구조적 취약성으로 인하여 임무 수행과정에서 여타 행위자들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게 된다. 일반적으로 IAEA와 직원들은 협력활동을 관리하는 기술지식정보의 창출자로서 인식되고 있으나 실제는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회원국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의 증대를 통해 IAEA 사업들의 추진 동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IAEA의 역사적 발전과 폭넓은 거버넌스 체계로부터 대체로 두 가지 교훈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한 국제기구의 기원, 특히 설립 당시의 환경은 그 기구의 이미지를 좌우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당한 기간 동안 IAEA의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기 위한 적극적 노력과 동시에 기존 임무의 다른 측면에 주의를 집중할 필요가 있다. 둘째, IAEA는 사업 현장 사무소를 두지 않는 왜소한 조직구조로 예산 절감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로 인하여 추진 사업의 실행을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여타 기구들에 비해 IAEA는 자체 개발한 기술의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여타 행위자들과 협력을 해야만 하는 추가의 투자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다소 복잡한 상하위 사업체계 속에서 IAEA는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바람직한 협력 형태의 독특한 방법론을 발전시켜왔다. IAEA가 제공하는 협력서비스는 원자력 관련 연수로부터 구체적 사업실행을 망라하며 그 과정에서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IAEA의 각 사업들은 독특한 강점과 약점을 지니고 있으나 그 거버넌스 형태에 있어서는 비교적 동일하다. 본 연구의 결과 IAEA는 그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IAEA는 장기적 사업의 실행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둘째, IAEA의 조직적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IAEA 직원들이 회원국을 통하는 방법에만 의존하기보다는 IAEA의 파견관들과 더불어 새로운 사업을 적극적으로 주도하거나 관련 연구기관들과 직접적으로 대화하는 새로운 시도를 추구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조직들이 유지되는 과정에서 공동체와 네트워크가 구축되는 것처럼 IAEA도 사업의제와 우선순위 선정 또는 사업의 공동운영자/잠재적 이해당사자들과의 접촉과정에서 비공식 방법에 심하게 노출될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IAEA의 세 가지 주요 협력사업은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연구사업의 모든 하위 단위까지 적용될 수 있을 만큼 융통성 있는 폭넓은 거버넌스 형태는 연구자들과 회원국들이 시급한 범세계적 문제에 대해 연구를 추진할 수 있는 종합적 공구함(toolbox)을 제공하게 된다. 둘째, 회원국들과 IAEA는 전반적인 사업계획 내에서 표출되는 범세계적인 이해와 국가적 이해 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IAEA는 FAO와의 관계를 통해 협력거버넌스의 모범으로 거듭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IAEA는 회원국들이 그들의 연구관심사를 실행할 수 있는 공구함(toolbox)을 적절히 구축하여 원만히 관리해 오고 있다. 끝으로 지금까지의 분석결과를 통해 IAEA는 간소한 거버넌스 형태, 상업화와 마케팅의 장점을 도입, 혁신적 사업 솔류선 개발 노력, 비정부적 이해당사자의 참여 등을 노력해야한다는 교훈이 도출된다.
영문 초록
An assessment of the origins of the IAEA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shows that this organization is highly political unlike many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orn out of the threat of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the IAEA has developed itself to a ‘development organization' even if the objective to contribute to assisting developing countries has been on the agenda from the very beginn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greatly neglected this rather ‘new' side of the IAEA and has missed out on significant potential for collaborations in light of global challenges. This is partly to do with the initial image of the organization formulated in the 1960s through the 1980s as the nuclear ‘watch-dog' and has made institutional collaborations with development institutions a challenge for the IAEA. However, today, IAEA's closer collaborations with UN special agencies have furthered the reach of the nuclear and isotope techniques that the organization developed in the areas of health, nutrition and agriculture but more potential lies ahead.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IAEA has not significantly changed up until today. This rather lean organizational structure forces the organization to rely on other actors for the implementation of its projects. A strong participation and interest generation of member states is therefore required to maintain the drive of the programmes. In a rather complex system of programmes and sub-programmes, the IAEA has managed to develop a sound toolbox of collaboration techniques and mod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Overall, the processes behind three of the four hold great potential for addressing the different needs of member states. Each of the programmes present distinc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cross the governance types. First of all, the IAEA needs to prioritize long-term project implementation. Second, the IAEA's active initiatives to suggest its national counterparts or to speak directly to research institutions, rather than via its member states, may further ameliorate its functions. Third, the IAEA's over-relying on informal processes might create additional parallel processes and add to its already complex system. The three advantages of the IAEA's governance structure was identified as well. The flexible modes of governance creates a comprehensive ‘toolbox' for researchers and member states to pursue researches in areas of imminent global interest. The IAEA's programmes have special means to support developing countries in their collaboration with developed countries through financial means or equipment support. The IAEA seeks to balance the interest of developed countries as well through different governance structures in its funding. Finally, the IAEA proves to set an example in its governance of collaboration with the UN FAO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ir ‘Joint Division'. Although technology transfer remains on the priority of the IAEA, the results have been mixed on the success of long-term technology and use of products by member states. The difficulty in the actual transfer of technology has partially been explained by the ambiguou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gime and the output orientation of scientists at the IAEA. The IAEA currently perceives itself at the brink of chang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an no longer function as they were created fifty or sixty years ago. They should draw on lessons learnt from private sector organizations including leaner modes of governance, image-building, and innovative programme solutions so that it can attract the attention of member states. The IAEA also needs to invite other non-state stake-holders such a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private companies to the project implementation phase.
목차
Ⅰ. 서 론
Ⅱ. IAEA의 설립 배경과 거버넌스 체계의 변천
Ⅲ. IAEA의 운영 이해당사자와 제3축 사업활동
Ⅳ. IAEA 주요 협력사업 거버넌스 체제 및 특성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법인세법상 생명보험 과세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정보시스템이 기업의 전략, 고객만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국의 말콤볼드리지 국가품질상을 중심으로
- 한국 국가(Sovereign) 신용부도 스왑(Credit Default Swap) 스프레드 기간구조를 이용한 부도율 실증분석
- 서비스 인카운터에서의 서비스 전달과정에 관한 연구
- 탈냉전기 중앙아시아의 파이프라인 구축에 대한 소고: 러시아와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 협력과 갈등을 중심으로
- 덴마크 공공 고용서비스 발전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DR을 통한 통신 분쟁 해결의 현황 및 개선방안
- Cultural Diplomacy of China Towards Europe:Its Implications and Evolution
- 우리나라와 영국의 중소기업 지원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요인분석: 대일무역역조 시정을 중심으로
- 한국형 입학사정관제의 개념창출과 발전방안
-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 A Comparison of Shopping Satisfaction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in Korea
- 글로벌 도전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 국제협력 거버넌스: 국제원자력기구의 다자적 과학기술협력 분석을 중심으로
- 글로벌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온라인 소매유통 채널에서의 소비자 우선 선호경로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T-Commerce 소매채널을 중심으로
- 아테네 비극과 민주주의 : 「안티고네」를 중심으로
- 中國農業發展銀行의 現況 및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
- 한국 식품영양산업 유통채널의 영향력과 갈등 및 만족에 관한 연구
- 外国人の対日観に関する研究: 日本滞在歴の長い韓国人の場合
- 한-EU 미래 과학기술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 포괄적 협력 협정 체결을 통한 EU FP 참여 확대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레저기업의 언어커뮤니케이션 및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이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골프장 캐디 서비스 중심
- 중소기업 경영자의 태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이용한 KOSPI200 실현변동성 예측력 향상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의 경영전략과 회계정보시스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