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cept Creation and Development Method in the Korean Style Admission Evaluator System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김정권(Jeong-Gwon Ki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7권 제4호, 516~536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의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현상학적 검토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그 출발점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점과 시사점을 성찰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한국교육에 있어서 입학사정관제는 大勢이고 大局인 것 같다. 이는 명백한 Top-down 접근방식이다. 정부주도의 사교육 문제 해결, 입시제도 개선 등 현실적인 교육 문제의 해결이 당면과제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 Top-down 접근방식은 장단점이 너무 분명했다. 충분한 현상학적 검토나 존재론적인 점검을 거치지 않는다면 결국 의도에 상관없이 혼돈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인지 입학사정관제는 대체로 부정적 시각이 농후한 편이다. 그리고 오해와 편견의 소지가 다분하다. 다시 말해 수학능력시험과 같은 정량평가는 객관적이지만 입학사정관제의 정성평가는 아무래도 주관적이며, 나아가 그 신뢰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현재 입학사정관들의 전문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것도 역시 전형제도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오해와 편견의 연쇄작용은 입학사정관제의 근본 취지를 무색하게 하는 조금 우려되는 상황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학사정관제는 대세와 대국인 것임에 틀림없다. 시대변화에 맞추어 한국 교육의 정체성이 ‘열림과 다양함’이라는 개방적 코드로 바뀌고 있고, 또 바뀌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 중심에 입학사정관제가 있는 것이다. 그 동안 한국교육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었던 ‘이성과 진보’, 그리고 그것에 기반한 극단적 정량평가는 어찌되었던 새로운 변화의 시대를 맞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 대국은 ‘이성과 진보’의 정량개념을 가로질러서 ‘열림과 다양함’의 정성적 개념으로 전환(transform)되어야 하는 것이다.
입학사정관제가 당위론을 넘어 존재론으로 자리매김 하기위한 방법론(methodology)을 찾을 수 있다. 입학사정관제의 표면에 나타나고 평행선과 교차점을 적시하면서 한국대학의 정체성 변화와 관련하여 새로운 입학사정관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소위 ‘한국형’ 입학사정관제, ‘MUD 식’ 입학사정관제가 그것이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사람들’, ‘컨텐츠’, ‘시스템’이라는 지극히 현실적이고도 구체적인 항목 설정으로, 우리나라의 현재에 있어서 실제적이고 적당히 만족하는(satisfying) 선에서 제안하였다.
소위 입학사정관제는 정량적 형태의 시험성적이 아닌 정성적 형태의 다양한 지원자 정보를 주관적 또는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제시된 것을 말한다. 그런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기입하고 입학서류를 작성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학생들의 교육활동에 대해 최대한 기록을 해서 입학전형에서 알맞게 표현하고 재현해야 한다. 그런데 한국교육에 있어서 이 ‘스스로’란 단어는 정말로 새롭고도 신기한 부사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그동안 한국의 교육환경은 타율적으로 이루어졌다는 말이 된다.
이런 면에서 한국형 입학사정관제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관련 지원 시스템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정부주도로 그동안 초중고 교육과정에서 소홀히 취급된 수사학, 서사학, 논리학, 그리고 글쓰기, 말하기 학습이 혁신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결국 이러한 노력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학생들과 부모, 그리고 학교(정부)가 함께해야 한다. 그것에 입학사정관제 전형, 또는 자기주도 학습전형의 당위론과 존재론이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지만 탈도 많고 말도 많은 한국교육에 있어서 입학사정관제는 가히 혁명적이다. 빠른 시간 내에 교육의 여러 문제점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특별한 계기가 될 것이다. 그것은 가깝게 내 아이를 제대로 키우기 위한 하나의 공식적인 제도인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purposed for phenomenological review on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in Korea. Especially it tried to suggest many problems and implications appeared in the starting point introspectively.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in current Korean education is the main trend and the main feature. It is a clearly an approaching method of top-down pattern. The face problems were the solution for the realistic problems in education such as the problem solving of private education and improvement in entrance examination. But the merits and demerits in such top-down approaching method were too certain. There must be confusions regardless of intention eventually if it is not examined by means of the phenomenological review or ontological examination.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is permeated with negative viewpoint mainly perhaps due to this matter. And there is more room for misunderstanding and the prejudice. In other word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like the Learning Ability Test is objective, but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admission evaluator system must be subjective. Furthermore, there is a serious problem on its reliability. The consistent emphasizing on the speciality of the admission evaluator can be one of the methods to acquire the reliability on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fairness. But, the chain reaction of this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has been spreading into the worried situation which puts the basic willing of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into the shade. Nevertheless,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must be a main trend and main feature.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is seated at the center of the situation that the identity of Korean education has been changing into the open code of ‘openness and variet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imes and it have to be changed. The ‘reason and progress’ which was the identity of Korean education in the past times and the extreme quantitative evaluation based on such identity are encountering a phase of new changes at any case. Consequently, now the main trend is to transform into the qualitative concept of ‘openness and variety’ from the quantitative concept of ‘reason and progress’.
The methodology for admission evaluator system to be positioned as an ontology beyond the rationale can be found. The developmental method for the new admission evaluator system was suggested in relation with the identity changes of universities in Korea while pointing out the parallel lines and the crossing points which emerged in the surface of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So called, ‘Korean style’ admission evaluator system and ‘MUD style’ admission evaluator system are the methodology. This thesis suggested it in a realistic and moderate satisfying level at present in Korea by means of setting very realistic and the specific item setting in terms of ‘people’, ‘contents’ and ‘system’.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is a suggestion of the method for subjective or integral evaluation on the information from various applicants in qualitative pattern not by the test score in quantitative pattern to be true to its name. However, the most important point in here is that the student shall fill the portfolio by himself and provide the application document. It shall be properly expressed and realized according to the admission evaluation by recording in maximum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students. But, the word of ‘by himself’ can be regarded as really one of the fresh and mysterious adjectives in Korean education. It means that the education environment in Korea had been established in other-directed way in such extent during the past times.
목차
Ⅰ. 문제제기: 입학사정관제 ‘가로지르기’
Ⅱ. 표면과 이면: 한국형 입학사정관제
Ⅲ. 열림과 다양함: 대학 정성평가의 정체성
Ⅳ. 새로운 모색: MUD식 입학사정관제
Ⅴ. 맺음말: 한국형 입학사정관제의 정착 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법인세법상 생명보험 과세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정보시스템이 기업의 전략, 고객만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국의 말콤볼드리지 국가품질상을 중심으로
- 한국 국가(Sovereign) 신용부도 스왑(Credit Default Swap) 스프레드 기간구조를 이용한 부도율 실증분석
- 서비스 인카운터에서의 서비스 전달과정에 관한 연구
- 탈냉전기 중앙아시아의 파이프라인 구축에 대한 소고: 러시아와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 협력과 갈등을 중심으로
- 덴마크 공공 고용서비스 발전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DR을 통한 통신 분쟁 해결의 현황 및 개선방안
- Cultural Diplomacy of China Towards Europe:Its Implications and Evolution
- 우리나라와 영국의 중소기업 지원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요인분석: 대일무역역조 시정을 중심으로
- 한국형 입학사정관제의 개념창출과 발전방안
-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 A Comparison of Shopping Satisfaction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in Korea
- 글로벌 도전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 국제협력 거버넌스: 국제원자력기구의 다자적 과학기술협력 분석을 중심으로
- 글로벌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온라인 소매유통 채널에서의 소비자 우선 선호경로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T-Commerce 소매채널을 중심으로
- 아테네 비극과 민주주의 : 「안티고네」를 중심으로
- 中國農業發展銀行의 現況 및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
- 한국 식품영양산업 유통채널의 영향력과 갈등 및 만족에 관한 연구
- 外国人の対日観に関する研究: 日本滞在歴の長い韓国人の場合
- 한-EU 미래 과학기술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 포괄적 협력 협정 체결을 통한 EU FP 참여 확대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레저기업의 언어커뮤니케이션 및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이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골프장 캐디 서비스 중심
- 중소기업 경영자의 태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이용한 KOSPI200 실현변동성 예측력 향상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의 경영전략과 회계정보시스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Journal of Asia Social Science Vol.13 No.3 Contents
- An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in Sons and Lovers from the Perspective of Ethical Literary Criticism
- The Multidimensional Construction of China-Pakistan Community with Shared Futur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