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ies and Its Programs in France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황혜진(Hae-Jin Hwang)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7권 제4호, 537~55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급변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면서 국가 고유의 문화정책을 펼치는 프랑스의 국가주도형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1960년 앙드레 말로의 문화 민주화의 실패로 문화예술의 교육적인 측면이 중시되면서 1980년대부터 랑 시대로 이어지면서 획기적인 정책적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여 2000년 문화예술 5개년 계획과 2005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계획으로 이어지면서 문화의 시대적인 다양성을 반영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진다. 이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정부의 문화부, 교육부와 지방자치단체, 교사와 예술가의 파트너쉽으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영역의 문화예술을 다각화된 통합적인 교육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원칙은 문화예술교육을 예능교육으로만 축소시키지 말며, 연령과 장르에도 제한하지 말며, 예술을 중심예술과 주변예술로 구분하지 말자는 것이다.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목표는 비판적인 감수성 함양, 문화적 사회 불평등 해소, 문화적 다양성 강화 그리고 다원적인 인문적 능력 강화에 있다.
또한 모든 문화예술교육은 소외되는 층이 없도록 학교에서부터 시작하여 문화예술교육 분야가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어지며, 전문 예술인들이 협력하여 지역 문화시설을 활용하여 다각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창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현장교육의 실습과 다양한 파트너쉽을 통한 다학제간 교육을 모든 학생들에게 어린 시절 부터 체계적으로 교육받게 하여 창조성과 비판적인 판별력과 미적 감수성을 갖추도록 개발한다. 예를 들면, 문화예술교실 프로젝트, 예술 아뜰리에 체험교육, 대학입시 관련 교육, 예술가 체류 프로그램, 보비니 문화예술교육 수업 사례와 문화체험교실과 영화 등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프랑스 문화예술교육의 특징적인 정책과 프로그램이 분석되어 진다.
프랑스 문화예술교육의 현 쟁점 사안으로서는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평가시스템에 관한 문제점, 전문인력과 교사교육의 문제점, 문화예술교육의 지속적 교육화 방안, 지방분권화정책의 실현으로 지방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등이 제시된다. 즉, 문화예술교육의 특성상 문화예술수업 프로그램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증명하기 어려운 평가의 문제가 제기되며 교사 및 문화예술 전문인력 혹은 지역 문화시설 담당자와의 파트너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현재 프랑스의 문화예술교육의 수혜자가 학생들에게만 대부분 한정되어 있으므로 평생학습과 사회교육으로 지속적 교육화가 추진되도록 문제점이 제시된다. 프랑스 문화예술교육의 가장 특징적인 지방분권화 정책은 DRAC과 같은 문화부의 지방조직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정책과 연관하여 지방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정책을 지원하고 있어 현재까지 다양한 지방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발전책이 논의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프랑스의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근간은 문화민주화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시대적인 요구를 반영하여 새로운 문화예술분야의 창조적인 교육까지도 국가가 주도적으로 지원해 주는 국가주도형 정책으로 미래지향적인 열린 사고의 교육 목표를 달성하고자 정부가 주관하여 지방 자치단체와 모두 협력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지속적인 활성을 위한 관심과 지원을 아낌없이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프랑스 정책은 전 세계적인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비전 제시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가장 오랫동안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책을 심도 깊게 논의해 온 프랑스의 현 쟁점사안에서 문제점은 수정, 보완하고 성공적인 면은 참조하여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정책과 프로그램개발 추진화에 영향을 주고자 하며 효과적인 정책 실현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ies and its programs in France is introduced via 1980s in which the active cooperation between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was made under the influence of minister of culture, Jack Lang. Although the foundations of French cultural policies began with the “democratization of culture” by Andre Malo who was a minister of culture in 1960s, his failure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was made by ignoring the educational aspects of culture and art. In 1980s Jack Lang introduced a new concept of culture including the diverse areas of everyday lifestyles and emphasized its importance of educational aspects in terms of culture and art policies in France.
The principle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ies in France was represented as the following concepts: first,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art shouldn't be limited in the area of art-related subjects only and should include diverse areas of culture. Second, the emphasi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shouldn't be limited in school mandatory subjects but to extend the level of adults continuing education.
The purposes of French culture and art education were emphasized as the following concepts: the education of analytic esthetic emotions, the elimination of cultural and social inequalities, the empasis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emphasis of multiplicate abilities, i.e. analytic abilities and expressive abilities.
Two major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national development plans were made in the year 2000 and 2005 in France and the core characteristics of its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ies in France was represented as the following concepts: first,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art is governed and influenced by the cooperation of education and culture ministries up to the regional DRACs through their emphasi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schools as a mandatory subjects. Second, the expansion of culture and education categories include diverse areas of culture, i.e. theater, cinema, art history, circus, dance, architecture, science and technologies. More field-oriented diverse classroom projects and programs were introduced via active partnership between the classroom teachers, content area specialists, artists and professionals from the local art and culture related institutes.
In this study, case studies from the field experience were introduced as the following: Class of PAC, Ateliers Artistique, Art Residence Program. Bobini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Culture Class and Cinema.
The current issues were explored as the follow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impact evaluation system, partnership education program between the classroom teachers, artists and the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regional culture and art institutes, the continuing education of current culture and art education attendees, decentralization and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s to the culture and art impacts on educational achievements, it contains the problems of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for the classroom teachers, artists and the professionals in the culture and art institutes or academies, Another issue of problem is the need of adults' continuing educ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s well as the school education for young students. The importance of regional development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via DRAC and its cooperative regional government is also introduced.
The in-depth studies on the area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ies and its program case studies of France are needed for its further studies to be applied in establishing Korean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ies. The key issues from this study need to be explored in scrutiny.
목차
Ⅰ. 서 론
Ⅱ.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정책
Ⅲ.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계획
Ⅳ.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
Ⅴ. 프랑스 문화예술교육의 현안 및 시사점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법인세법상 생명보험 과세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정보시스템이 기업의 전략, 고객만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국의 말콤볼드리지 국가품질상을 중심으로
- 한국 국가(Sovereign) 신용부도 스왑(Credit Default Swap) 스프레드 기간구조를 이용한 부도율 실증분석
- 서비스 인카운터에서의 서비스 전달과정에 관한 연구
- 탈냉전기 중앙아시아의 파이프라인 구축에 대한 소고: 러시아와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 협력과 갈등을 중심으로
- 덴마크 공공 고용서비스 발전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DR을 통한 통신 분쟁 해결의 현황 및 개선방안
- Cultural Diplomacy of China Towards Europe:Its Implications and Evolution
- 우리나라와 영국의 중소기업 지원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요인분석: 대일무역역조 시정을 중심으로
- 한국형 입학사정관제의 개념창출과 발전방안
-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 A Comparison of Shopping Satisfaction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in Korea
- 글로벌 도전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 국제협력 거버넌스: 국제원자력기구의 다자적 과학기술협력 분석을 중심으로
- 글로벌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온라인 소매유통 채널에서의 소비자 우선 선호경로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T-Commerce 소매채널을 중심으로
- 아테네 비극과 민주주의 : 「안티고네」를 중심으로
- 中國農業發展銀行의 現況 및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
- 한국 식품영양산업 유통채널의 영향력과 갈등 및 만족에 관한 연구
- 外国人の対日観に関する研究: 日本滞在歴の長い韓国人の場合
- 한-EU 미래 과학기술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 포괄적 협력 협정 체결을 통한 EU FP 참여 확대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레저기업의 언어커뮤니케이션 및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이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골프장 캐디 서비스 중심
- 중소기업 경영자의 태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이용한 KOSPI200 실현변동성 예측력 향상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의 경영전략과 회계정보시스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Journal of Asia Social Science Vol.13 No.3 Contents
- An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in Sons and Lovers from the Perspective of Ethical Literary Criticism
- The Multidimensional Construction of China-Pakistan Community with Shared Futur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