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소기업 경영자의 태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f SME Managers' Attitudes About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최화열(Hwa-Yeol Choi) 이인구(In-Ku Lee)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7권 제4호, 301~3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국내 산업의 중심은 점차 대기업 위주에서 중소기업 위주로 이동하고 있다고 볼 수가 있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위상은 매년 증가하여 현재는 국내 산업의 50% 가량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2010년 매출액 기준) 이는 이전 까지 불어 닥친 벤처경영열풍이나 IT 발달을 통한 지식기반 인터넷 산업의 발달로 인한 영향을 받았음을 부인 할 수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국내 중소기업의 최근 추세는 지식기반 산업의 발달을 중심으로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의 기업 주도권이 서서히 이양된다고 볼 수가 있다. 이는 소비자 취향의 다양성, 적은 자본과 아이디어로 인한 수익 창출등 기존의 산업구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적응하기 좋은 기업의 형태가 중소기업 형태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진 않겠지만 서서히 변화 할 것은 피할 수 없는 사실로 보인다. 이러한 최근의 추세들로 인해서 중소기업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기업가의 역할 역시 중요해지고 있다. 대기업과는 다른 소규모 창업형태의 구조를 띄고 있는 중소기업에서는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이 되지만 현재까지는 이렇다 할 연구 결과나 성과가 나타나고 있지는 않다고 볼 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중소기업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서 직무만족도를 증가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소기업에 맞는 형태의 경영자의 태도와 행동을 보여 줄 수 있는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소기업은 운영하는데 있어서 핵심역량으로서의 경영자의 역할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경영자의 태도가 핵심역량으로서의 역할의 한 축을 담당한다는 가설을 중심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그와 더불어서 각 업종에 맞는 경영자의 특징이 있을 것 이라는 가설을 포함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경영자의 태도는 기업의 종업원의 직무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이는 기업의 핵심역량과 직결될 것이라는 가설을 주제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 위주로 실시되었는데 문헌조사는 주로 국내 박사 학위 논문과, 인사조직에 관련된 도서들을 위주로 살펴보았으며, 국외 논문으로는 주로 Wotrmam(1999)의 논문을 위주로 다수의 논문들을 살펴보는 방식으로 외국의 사례와 더불어서 개념에 대한 정리를 병행하였다. 정리를 병행하면서 여러 학자들의 논문을 통해서 설문지의 문항을 작성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며 문항 작성 뒤 사전 조사를 통해서 설문지의 문항을 조절하는 방식을 취하여 문항의 적절성을 높이는 방안도 같이 연구했다. 다른 연구의 방법으로 문헌연구와 더불어서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근교의 중소기업에 근무 중인 200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업종은 주로 기술 기반의 제조업과 지식 기반의 IT 업종을 중심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측정의 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전체 질문이 리커트 척도를 기반으로 47개의 질문을 통하여 경영자의 태도가 기업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방식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기업의 핵심역량으로서의 경영자의 태도를 파악하고, 각 업종의 특성에 따른 경영자를 통하여 중소기업의 가치 향상과 더불어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가능케 하는 경영자의 성향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는 중소기업 경영자의 태도는 높은 수준으로 기업의 핵심역량에 영향을 끼치며 이는 각 업종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식기반의 산업의 측면에서 창의적인 리더를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지식기반 산업이 현재 중소기업의 성장을 이끄는 선도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아, 경영자의 창의적인 리더십과 기존의 대기업 경영자와는 다른 형태의 리더십이 필요한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는 기존의 중소기업 경영자의 특성을 조사한 신유근(1999)의 연구를 바탕으로 조사결과에서 나온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자의 태도를 살펴ㅛ보면 현재의 경영자와 종업원들의 선호하는 경영자가 다르다는 결론이 나올 수가 있다. 기업의 핵심역량의 측면에서 경영자의 태도와 직무만족도는 상당한 역할을 차지하기 때문에 앞으로 이러한 잘못된 태도와 인식을 고치기 위해서 노력을 한다면 기업의 핵심역량 구축이 더 수월해 질 것이며 이는 곧 기업의 성장과 매출액의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부족한 방안으로 향후 더 연구 되어야 할 방안으로 생각되는 점은 너무 인사 쪽에만 치우친 본 연구의 조사의 방향 보다 더 확장 되어서 기업의 전사적인 특성 전부를 조사하여 경영자의 태도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또한 직무만족도에 대한 영향, 그리고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서 기업의 핵심역량에 대한 정의와, 기업가 정신 등 더 많은 분야의 정보를 취합한 연구와 더불어서, 경영자의 특성을 단 몇 개의 숫자로 규정짓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문헌조사와 연구를 통해서 더욱 세부적인 경영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에 이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Currently, the center of Korean businesses moves from conglomerates to small enterprises which occupy 50% of Korean businesses with the criteria of sales in 2010. This is the result of not only the boom of venture businesses but also the development of knowledge-based internet businesses. Therefore, the recent trend of small enterprises is clearly that they gradually take the leadership positions in Korean business markets away from conglomerat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knowledge-based businesses. Although the leadership transfer is happening gradually, the trend will be even more strengthened from now on. Factors like more various consumer preferences and profitability based on creative ideas with relatively small capitals change the previous natures of industrial structures, and small enterprises tend to adopt this new situation better than conglomerates. As the importance of small enterprises grows bigger with this trend, the importance of roles of entrepreneurs grows bigger as well. Entrepreneurs of small enterprises need to have different leadership styles than those of conglomerates since small enterprises have different foundation structures of small scales. This may affect levels of job satisfaction, but no research has been proved the correlation. Therefore, a research needs to suggest the leadership styles through which entrepreneurs of small enterprises can increase job satisfaction. Also, a research needs to suggest appropriate entrepreneur spirits for leaders of small enterprises. Consequently, this research examines the roles of CEOs of small enterprise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ntrepreneur spirits are core competencies of businesses as well as the assumption that characteristics of CEOs differ depending on industries. In the other word, this research is based on that entrepreneur spirits can affect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thus directly contributing to core competencies of companies. This research is based on analyses of literatures which include theses for doctorates in Korea, books about human resources organizations, theses of Wotrmam in 1999, and other non-Korean theses. From these sources, many non-Korean cases were reviewed, and concept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analyses, the questions of the survey for this research were derived. Preliminary researches enabled further changes of the questions so that they can be more appropriate.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analyses, this research is also based on a survey analysis. The survey targets 200 employees of small enterprises near Seoul, and the enterprises are in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technology-based IT industries. The survey in a paper form aims at figuring out the effects of entrepreneur spirits on core competencies of firms based on 47 questions from a Likert scale.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different entrepreneur tendencies depending on industries thus suggesting most favorable entrepreneur spirits which can magnify small enterprises’ values and enable their long-term sustainability. As a result, entrepreneur spirits of small enterprises affect core competencies a lot, and the most favorable spirits differ depending on industries. Especially for knowledge-based businesses, creativ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the leadership of entrepreneurs. This leadership type for small enterprises differs from that for conglomerates. From the research about effects of entrepreneur spirits of small enterprises on job satisfaction of YooGeun Shin in 1999, it is proved that the leadership types preferred by employees differ from those of existing CEOs. If this gap between employee’s preferences and existing leadership styles becomes smaller, companies will be able to have much stronger competencies thus achieving the increase in sales as well as long-term growt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문제
Ⅳ. 연구방법
Ⅴ. 연구 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화열(Hwa-Yeol Choi),이인구(In-Ku Lee). (2010).중소기업 경영자의 태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유라시아연구, 7 (4), 301-321

MLA

최화열(Hwa-Yeol Choi),이인구(In-Ku Lee). "중소기업 경영자의 태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유라시아연구, 7.4(2010): 301-3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